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는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글입니다.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글은 직접 작성한 것이 아니라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에 대한 네티즌의 의견을 정리한 것입니다.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읽는데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요약은 밑에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서울대 인식, 수준 - 서연고 라인, 서울대 취업 현실 하단을 이용해주세요. 수정이나 삭제를 원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빠르게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싱글벙글 서울대 근황


메디컬 부상하고 옛날 서울대-연고대 관계가 이제 의대-서울대 관계가 됨
한번쯤 서울대를 가보는것도 괜찮습니다
가서 공부도 해보고 군대도 갔다오고
3~4학년 취업시즌이 돼서 의대간 친구와의 갭이 얼마나 넘사벽으로 벌어지는지 몸소 체험도 해보고
한번 겪어보시는것도 괜찮습니다
농담이 아닌게 20살부터 바로 의대가서 주변에서 의느님이랍시고 떠받들여지는 경험을 하게되면
자신이 얻는 모든 사회적 지위와 수입이 순전히 자신의 능력때문이라는 착각을 하기 쉽습니다
사실은 능력 때문이 아니죠. 의대에 가서 의사가 됐기때문에 그런겁니다
이런 착각때문에 의대생이나 의사들이 보통 누리는 특권에 비해 불만이 많은편입니다
공대가서 스타트업 엑싯같은 잘풀린 극소수 케이스를 듣고와서는
자신정도의 재능과 능력과 노력이면 그정도는 쉽게 해내고 지금쯤 편하게 살고있을거라는 착각을 하기 쉽거든요
하지만 서울대를 가서 자신의 처지가 어디까지 내려갈 수 있는지 겪고 나면 그런 착각을 할 일이 없습니다.
자유시장경제에서 살아남으려면 공부 좀 잘한정도의 노력과 근성으로는 택도 없다는것도 몸소 체험하고 의대에 가십시오
그리고 오르비를 보면 오르비에서 의대를 올려친다는둥
서울대 가면 다들 열심히 해서 의대에는 관심도 없다는둥의 정말 세상모르는 낭설들이 많은데
서울대 가보시면 그게 얼마나 헛된 착각이었는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습니다
공부만 하지말고 스타트업쪽도 돌아다녀 보시고 사업이라는게 뭔지 시장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체험하고 오시는걸 권장합니다
한국 사회라는게 얼마나 철저히 의사만을 위한 시스템으로 돌아가고있는지 냉정하게 판단하고 깨닫고 오세요
3~4년 늦더라도 결국 의대에 오면 그걸로 된 겁니다
서울대 공대 다니는데 우울증 걸린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는 유학/이민 관련한 커뮤니티가 여기밖에 없어서 글 남깁니다.. 요새 참 정신적으로 힘드네요. 혼자 생각만 하다보니 계속 구덩이로 더 들어가는 것 같아서 다른 분들과 얘기 나눠보고 싶었습니다.
저는 해외고 출신에 현재 서울대학교 공대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학교에 들어오니 제 생각보다 너무 다르고, 실망도 크고, 미국에 갔다면 인생이 달라졌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드네요. 제가 느끼는 서울대 공대는 영재학교/과학고 출신 아니면 살아남기 매우 어려운 곳입니다. 이 친구들은 대학교 1-2학년 과정을 전부 선행학습하고 들어오는데, 수업들이 전부 이 친구들한테 맞춰져있습니다. 저 역시 고딩 때 IB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파이널 점수 45점으로 졸업하고 ap도 5점짜리 몇개 있지만 이 친구들의 선행학습 수준은 IB/AP와 차원이 다릅니다. 애초에 대학교 교재를 보고 “어 이거 가지고 고1때 수업했는데” 할 정도입니다. 교수님들이 수업할 때 “뭐 이 정도는 알겠지”하고 넘어가는게 매우 많고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제도도 미비합니다. PPT를 있는 그대로 그냥 읽는 교수님도 많고 대학원생들은 워낙 바빠서 오피스 아워에 질문하는 것도 힘듭니다. 거기다 변별력이 필요하니 수업 내용에서 다루지조차 않은 내용들이 시험문제로 나오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한 마디로 수업 열심히 듣는 것과는 별개로 애초에 그 내용을 알지 못했다면 절대 잘할 수 없습니다. 열심히 공부한 뒤 이때 느껴지는 현타는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농구 수업에서 잘하려고 농구 열심히 했는데 정작 시험은 멀리뛰기 기록으로 매기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요.. 비슷한 면도 분명 있겠지만 사실상 그냥 애초에 운동신경 좋은 애가 짱먹는 구조입니다. 물론 대학교 4년 열심히 한다고 영재고 과고 애들 뛰어넘는다면 그 친구들이 중학생부터, 아니 초딩때부터 열심히 한 시간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도 드네요. 그렇다고 제가 열심히 안한 건 아니지만..뭐 어쨌든..
반면 미국 명문대들을 보면 굉장히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을 뽑고 (애초에 영재학교 같은 수준의 선행을 시키는 학교가 미국에 존재하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모두가 의지만 있다면 수업을 따라갈 수 있도록 제도나 인프라가 잘 되어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더라고요. 가르치는 내용과 과제, 시험 등이 잘 align되어있는 것 같고요..제가 미국 명문대 다니는 친구들이 꽤 있는데 가장 놀랐던 것 중 하나가 생각보다 1학년 수업들이 쉽다는 겁니다 (로드가 적다는 게 아닙니다. 지적인 난이도를 뜻합니다). 사실상 일단 1학년은 고등학교의 연장선상인것처럼 보이더라고요. 그 친구들 말로는 워낙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일단 모두 같은 지적 선상에 놓고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어서 그런 거 같다고 하더라고요. 심지어 MIT 다니는 친구가 말하길 AP미적분조차 잘 모르고 들어오는 학생들도 적지만 있다고 합니다..”얜 도대체 어떻게 들어온거지” 싶은 생각이 들은 경우가 꽤 있었다고 했네요. 당연히 이런 학생들은 한국 대학 기준으론 고려할 가치조차 없이 광탈이겠죠.. 기본 학업/수학 능력에서 기준 미달이니까요. 중요한 건 이런 학생들까지 일단 입학을 시켰으면 4년동안 아주 빡세게 교육을 시켜서 모두 높은 수준의 실력을 갖춘 인재들로 육성시켜서 졸업시킨다는 겁니다. “이게 교육이지” 싶었습니다.
서울대는 정반대입니다. 애초에 “똑똑한” 친구들을 뽑아서 “니네가 따라올 수 있으면 따라와라. 못 따라오면 어쩔 수 없지 뭐. 여긴 니 길이 아닌거다” 싶은 분위기가 있습니다. 1학년 수학 물리학 강의부터 이렇습니다. 저도 해외고 출신이기 때문에 중고딩 동창들 중에 아이비리그, 스탠퍼드 등 간 친구들이 꽤 있는데 이 친구들 대부분 사실 저와 비슷한 친구들이었습니다. 막 천재적이라기보다는 성실하고, 공부도 잘하고 운동도 잘하고 예술도 잘하고 봉사도 하고.. 흔히 생각하는 육각형 인재, 엄친아 느낌이 나는 애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저 역시 공부뿐만 아니라 전교회장, 오케스트라 단장, 축구부 주장, MUN클럽 회장 등에다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 등 지능이 특출난 건 아니지만 그냥 두루두루 잘하는 학생이었습니다. 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 같은 애는 주변에 한 명도 없었고요. 이런 “머리는 평범하지만 포텐셜이 있는” 친구들을 데려다가 이제 학업적으로 빡세게 교육시켜서 인재로 만드는 곳이 미국 대학교 같습니다. 서울대는 반대입니다. 제가 고등학교때 한 번도 보지 못한 “진짜 얘 뭐지” 싶은 애들이 한 둘이 아닙니다. 한국에 유난히 수재들이 많은 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올림피아드 메달 딴 애들 뭐 당연히 많고, 그냥 머리 자체가 좋은 애들이 많습니다. 아 이런 애들이 서울대 공대 다니는 거구나. 난 길을 잘못 찾았나보다. 나는 경쟁에서 도태된 사람이구나. 이런 생각이 절로 듭니다. 앞서 언급했듯 이 친구들이 중고딩때 한 선행학습과 소수의 영재들을 위한 서울대의 교육과정 역시 이러한 박탈감에 일조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미국 명문대에도 이런 천재들이 있겠죠. 다만 제가 느끼기에 미국 명문대는 “탁월함”의 정의와 해석이 서울대보다 훨씬 넓고 다양합니다. 천재도 뽑지만 제 동창들처럼 지능은 일반적이라도 매력적이거나 특이한 삶을 살아온 학생, 또는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적이진 않아도 좋은 성과를 보인 학생도 뽑아서 교육시킵니다. 국내 명문대는 광탈했는데 해외에 훨씬 좋은 명문대에는 합격하는 경우 아마 많이 보셨을 겁니다. 서울대는 소수의 천재를 위해 저 같은 다수의 범재가 바닥을 깔아주는 구조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이렇기 때문에 의대로 도망가는 학생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평범하다는 걸 대학 와서 처음 느끼고 힘든 상황에서 학교 분위기조차 이 감정에 일조를 하기 때문에, 이걸 도저히 못 견디고 최소한 꼴찌를 해도 하방은 보장된 의대로 “도망”을 가는 것 같습니다.
제 고등학교 동창 중에 라이스대학교 공대 다니는 친구가 있습니다. 고등학생 때 제가 수석이었고 (valedictorian) 이 친구는 전교 15등 정도 했습니다. 물론 고딩때도 상당히 잘했던 친구지만 솔직히 막 수재라고 생각이 들 정도는 아니였습니다. 대학 들어가고 우연히 연락을 하게 되었는데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있더군요. 우선 저보다 공학 관련 지식이나 이해도가 훨씬 높더라고요. 학점도 저보다 높고, 실력도 저보다 나은 것 같았어요. 저는 전공 교수님 수업을 정말 도저히 못 들어주겠어서 혼자 공부하고 밤새 찾아보고 하다 현타에 짜증에 스트레스에 이것저것 다 합쳐져서 “아 시X 몰라 짜증나”하고 수업도 던지고 했는데, 이 친구는 그런 적 한 번도 없다고 하고요. 무엇보다 스스로 행복하다고, 만족한다고 말하는게 너무너무 부러웠습니다. 저는 지난 몇달 동안 행복한 적이 있었는지 싶네요 (만성 우울증인가..). 수업 들으면서는 한 번도 없었던 것 같고요.. 아 그리고 라이스대학교가 그냥 어떤 학부든 stem쪽이든 서울대 압살하더라고요ㅋㅋㅋ위상이나 인프라나 랭킹이나.. 전 뭘 위해서 고딩때 그렇게 열심히 한 걸까요 하하. 그리고 제가 부정적이라서 주변에 부정적인 사람이 많은 걸수도 있는데, 제 친구들 중에 미국 대학 간 친구들은 그래도 대체로 자기 학교와 생활에 만족하는데, 제가 서울대에서 만난 친구들은 보통 학교에 대한 불만이 많았습니다.
넋두리가 길어서 죄송합니다.. 평소에 혼자서만 하던 생각을 쏟아냈네요. 물론 미국이라고 무슨 천국은 아니겠지만.. 학교에 대한 불만이 계속 쌓이니까 너무 힘드네요. 진짜 지금이라도 자퇴하고 미국대학 도전해볼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차피 배운것도 별로 없고.. Hypsmc 이런 곳들은 꿈도 안 꾸구요, 카네기멜론 듀크 존홉 노스웨스턴 라이스 이런 곳들도 기대도 안합니다. 일단 집에서 학비를 감당해줄 수가 없어서 갈거면 재정보조나 장학금을 받아야하는데, 사실상 t20는 불가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 아래도 매우 힘들지 않을까 싶은데.. 애초에 나이도 많고, 아시아계에 딱히 특출난 것 없는 애를 돈까지 주고 데려갈 이유가 없겠죠. 그나마 도전해보고 싶은 곳들이 있다면 리버럴아츠 칼리지나, 로체스터 대학교, 드렉셀 대학교, 브랜다이스 대학교 같은 사립대학교들인데.. stem쪽으로 재정보조까지 받고 갈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아니면 방법은 어쨌든 꾸역꾸역 서울대 졸업하고 나중에 석사를 하러 나가는건데, 학점도 안 좋은 저를 석사로 나중에라도 뽑아줄지 모르겠습니다. 한 번도 대학원 생각해본적이 없긴 한데.. 석사가 그나마 제일 현실적일까요? 한 번 뿐인 인생 미국에 가서 살아보고 싶은 마음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살고 계신 분, 또는 미국에서 대학교/대학원 다니셨던 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저는.. 그냥 행복해지고 싶습니다. 사실 그보다 그냥 그만 좀 불안하고 싶고 좀 편안해지고 싶네요..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고 미국 가 있는 친구들이 너무 부럽고, 과거에 대한 후회 등등이 합쳐져서 정신적으로 너무 지칩니다. 고등학교 수석 졸업하고, IB 만점에 서울대 합격에.. 그때 당시에는 세상이 제 것인 줄 알았습니다. 뭐든 열심히 하면 이룰 수 있을거고, 나는 그래도 참 괜찮은 사람이라는 자신감이 있었습니다. 서울대 오고 1년도 안돼서 박살이 났네요.
댓글
미국 오세요. 한국 난다긴다 하는 사람들도 자유로운 학문찾아 오는 곳이 미국인듯.
미국 기업에서 new graduate을 뽑을 때 학점이 좋으면 더욱 좋겠지만 기본적으로 day 1부터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사람을 원합니다. 그래서 학부생들은 수업을 열심히 듣는 것보다는 매 여름방학때 회사에서 intern을 하거나 학교에서 어려운 실무개발 프로젝트를 하거나 그것도 아니면 self project라도 해서 어떻게든 회사에서 바로 일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합니다. 그런 노력을 해야 인터뷰때 해당부서 직원이 실질적인 업무에 대한 질문을 해도 조금이나마 대답을 할수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많은 한국유학생들이 그저 학부에서 수업 듣고 all A 가끼이 받더라도 결국 취업에 실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도 제 손으로 GPA좋은 한국학생들 떨어뜨린 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리고 얼마전부터 미국IT기업 경기가 극도로 안좋아서 요즘 취업에 성공하는 미국 공대생 숫자가 명문대라도 많지 않습니다. 심지어 인턴도 못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인턴 못구하면 취업 제대로 못할 확률이 90%이상입니다. 게다가 H1비자를 지원 안해주는 기업이 계속 늘고 있어서 유학생들 미국취업은 정말 힘듭니다. 위에서 말씀하신 고충은 애교수준이라고 할정도로 심각해요. 엄청난 노력으로 top school에 들어가 엄청난 학비를 들여 힘들게 좋은 학점까지 받았는데 미국 그 어디에서도 받아주는 곳이 없을때 그 정신적 충격으로 정신과까지 다니는 경우도 봤습니다. CS 졸업하고도 (시민권자) 3년째 놀구 있는데 한국에 들어가 있는 부모까지 미쳐가더라구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아.. 그렇군요.. 상상은 했지만 역시 제가 모르는 고충들이 있었군요..상황을 아는 분 입장에서 어린 아이가 떼 쓰는 것처럼 보이셨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저처럼 영주권/시민권이 없는 유학생 입장에서 학부부터 미국에서 하는 것은 너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시나요? 현재 제 상황에서 미국으로 가려면 어떠한 루트를 타는게 가장 현실적인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학부는 서울대 졸업하고 석사를 노려보는 게 제일 나을까요?
미국 대학들도 천차 만별입니다. 제가 아는 라이스 대학의 경우는 소수 정예 사립학교로서 교수들이 학부생들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주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학생숫자가 적고 그만큼 교수숫자도 적어서 가르치는 과목도 적고 커버하는 세부분야도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에 학생숫자와 교수숫자를 늘려 몸집을 키우는데 혈안이 되어 있는 대형 대학들은 기업들이 선호할만한 여러가지 세부전공과목들이 많이 개설해 취업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있지만 반면에 학생 개개인을 거의 관리해주지는 않습니다. 누가 도태되던지 심지어 기숙사에서 자살하던지 별 상관 안할 정도에 오히려 한국의 대학이 그리울 정도로 차갑습니다. 학번이고 동기고 선후배 개념도 없어서 사교성이 없으면 같은 대학에서 아는 사람 없이 혼자 학교다니다가 졸업할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제와서 토플이랑 SAT/ACT준비하고 엄청난 학비까지 내며 미국 학부를 다니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겁니다. 일단 한국에서 학부를 마치고 한국 대기업의 좋은 부서에서 2~3년 다닌후 미국 석사로 와서 첫 방학때 한국경력을 이용해 어떻게든 인턴을 구하고 졸업후 같은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한국 직장경력없이 바로 유학오면 방학때 인턴구하기가 거의 불가능 할 거에요. 또 다른 옵션으로 한국이나 미국에서 박사를 하고 NIW로 영주권을 받아 취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시간이 많이 걸릴꺼구요.
MIT 다니는 친구가 말하길 AP미적분조차 잘 모르고 들어오는 학생들도 적지만 있다고 합니다
=> 이런 애들 졸업하기 힘들거에요.
나도 설대 다닐때 좌절감 많이 느꼈는데 요즘에도 꿈에서도 나와요. 어젯밤도 설대시절 좌절감 꿈꿨네요.
근데 미국이라고 쉬운건 아닙니다. 물론 미국이 좀 나은점도 있긴 있을거에요. 필드메달 받은 허준이 씨가 생각나네요. 설대다닐때 그런 좌절감겪다가 나중에사 공부에 진짜맛을 안건지 …
좌절감을 겪는 이유는 사실 꼭 성대라서 그런게 아니라
원래 어려운 공부를 단기간에 가르치고 단기간에 숙제 풀어야하고 하는데서 오는거라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걸 잘 해결해가는 옆에 천재같은 애들보면 엄청 그게 심해지죠.
보통 사람은 그렇게 빠른 스피드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아요. 나 대학교 다닐때 공부했던것도 생각해보면 이해를 하나하나 하고 넘어갔던게 아니라 시험보고 숙제해야하니 이해못해도 어떡하든 결과는 내야하니 그런식으로 한게 많은듯합니다. 제대로 이해하려면 수업에 의존하지 않고 나중에라도 꾸준히 읽고 공부하고 생각해봐야 합니다. 결국 학교다닐때는 이해보다는 일단 숙제마칠것 시험성적 내는 방법에 체중해야 해요. 족보도 어디서 잘 구해야 하고.
미국도 마찬가집니다. 좋은 학교갈수록 똑똑하ㅋ 애들 많아요. 진도도 점점 더 빨라지고요.
설대 학부가 문제가 아니고요. 물론 간혹 좋은 선생 만나면 도움이 되긴 합니다만.
성적너무 걱정말고 한국에서 일단 학부드ㅋ 석사든 잘 마치고 유학 나오세요. 특히 재정적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면요. 유학나온다고 지금 고민이 쉽게 해결되진 않아요. 미국은 들어가긴 쉬운데 졸업하기가 어렵다고 하죠.
앞서 댓글도 언급했듯. 결국은 학위가 중요한게 아니라 직장 잡는게 중요합니다. 마라톤이에요.
아마도 대학1 학년 학생 같은데, 미국 학부도 마찬가지 입니다.
정확히 미국에 어떤 고등학교를 졸업 했는지 모르지만, 한국에 서울대 수준은 미국에서 내놓으라는 대학만큼의 교수, 수업 일겁니다.
대학은 혼자 스스로 공부 하는걸 배우는 곳이 대학 입니다. 교수가 수업 내용을 커버 한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교수가 이야기한 진도내에서 챕터내의 교과서를 읽고 스스로 공부해 내걸 만들어 내고, 수업은 그냥 이해를 돕는 요점 정리라 생각 하세요. 대학은 고등학교 처럼 일일히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스스로 책을 읽고 공부하고 잘 이해 안가고 힘든내용, TA한테 가서 물어보고 질문 하세요.
미국 고등학교 처럼 선생님이 일일히 가르쳐 주는 걸 원하시면, 미국에서는 CC 나 한국에서 그 수준쯤 되는 대학을 갔어야 합니다.
학사는 스스로 공부 하는 법을 배우는 곳
석사는 스스로 찾아 공부 하는 법을 배우는 곳
박사는 답이 없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하는 법을 배우는 곳 이라 생각 합니다.
미국에 와서 공부해서 뭘하겠다는 건지 정확하지 않아요? 1) 미국에서 취업: 외국인으로 쉽지 않아요. 특히 누군가 댓글에달았듯한데요…한국에서 미국으로 온 조카들이 상위권 공대에 있는데 미국회사 인턴도 쉽지않더라구요. 그러면 대학졸업후 취업도 힘듬. 특히 외국인으로서…2) 한국으로 취업: 미국에서 공부해서 미국대학 학위보다 서울대 학위가 훨씬 좋습니다. 미국대학나온 사람들은 이미 한국에서 부적응자라서 미국으로 간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기때문입니다. 원글쓴분만 봐도 서울대학에서 적응못해 미국으로 대학을 가려는 것만봐고 그렇죠. 게다가 적어도 한국기업들은 미국대학출신보다 한국대학출신들을 더 유용하다고 봅니다. 결론: 지금 막상 공부가 어렵다고 자기 합리화 하려고 미국으로 곁눈질말고 열심히 공부해서 서울대를 졸업하는게 가장 최선입니다. 그리고 석사박사로 미국대학원 진학을 하면 커리어에 훨씬 좋고 미국에서의 취업도 한결 쉽습니다. 현실도피하지말고 남의 떡이 커보이는 그런 마음도 버리고 현재 위치에서 열심히 하시길.. 고등학교 전교 1-2등을 하니 서울대 간거고 친구는 겨우 15등 하니 서울대 심지어 연고대 등 인서울대학도 못갈실력이니 할수 없이 미국으로 간거아닙니까?
수능을 보고 온 한국 학생들도 한국의 상위권 대학 학부 코스를 통과하기 쉽지 않습니다. 해외고등학교에서 특수전형으로 입학하신 듯이 보이는데 미국 유학을 추천드립니다. 한국학부 과정의 내용이 어렵기도 하지만 학부에서 학생들의 학업상 어려움을 케어해 주기 위한 시스템이 미국에 비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유학이 어려우시면 차선책으로 교수님과 컨택해서 학부 인턴으로 연구실 생활을 하며 학업을 따라가시길 추천드립니다. 물론 이때 교수님의 인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시길 바라며 이를 위해 교수님들에 대한 평판을 대학원생들 선배를 통해 얻으시길 조언드립니다.
내 생각에는 서울대 갈정도면 공부따라가기 그정도로 어렵진 않을텐데 하는 생각에 글을 읽고 답글쓰다보니 좀 이상해서 제대로 원글을 읽어보니… 한단어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해외고등학교 졸업.. “어쩐지…해외에서 쉽게 공부하고 어떻게 서울대 입학했는지 의아합니다. 해외에서 공부했다면 솔직히 서울대에서 따라가기 어려울겁니다, 제가 해외의 (미국) 중고등학교 애들 공부하는 거 잘 압니다, 놀면서 설렁설렁..그래도 선생님말잘듣고 말잘하고 열심하 착실히만 학교다면 성적은 좋게 받아요. 그러다보니 고등학교 성적좋다는게 지적 경쟁력있음을 보여주기보다는 일단은 착실한정도를 보여주다보니 과학 수학쪽 능력이 부족함에도 고등학교성적좋다고 공대 프리메드한다고 그쪽으로 갔다고 낙오되는 애들도 많이 봤습니다. 좀 다른 얘기지만 한국의 고등학교 성적이나 수능 등이 미국고등학교 성적이나 ACT/SAT보다 솔직히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보다 정확하다고 느낍니다. 미국 고등학교 성적 1등보다 중간정도 애가 더 두뇌가 명석하고 똑똑해서 대학가서 잘하는경우가 허다해요. 게다가 대학(특히 주립대의 공대 등)가서 한국 비스무리한 식의 수업을 하다보니 그제서야 앗뜨거하고 애들이 어렵다고 느낍니다.
여하튼 미국에서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 넘어가서 어렵다고 하지만 그 어려움이란게 한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널널한편이구요. 친구얘기도 하셨는데., 사립하고 공립은 분위기가 또 다릅니다. 주립대 공과대학이 상대적으로 방목형입니다. 해서 교수들의 케어를 더 받고 싶으면 사립으로 가는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공과대학은 주로 주립대가 좋은 편이긴 합니다. 한국에서 공부한 애들은 이미 빡세게 공부하고 단련이되어 별 문제가 없습니다. 해외에서 공부하고 어찌해서 서울대 갔다면 앞으도도 뜨거운 경쟁에 익숙하고 선행학습으로 무장된 다른 학생들과 견주며 공부하기 힘들다고 단언합니다. 저도 수학을 잘하는 편인데 선형대수 수업을 1학년때 화공과애들하고 들었는데 어려웠고 겨우 B+를 받았던 기억이 ㅜㅜ어쩌자고 해외에서 역으로 한국대학으로 그것도 서울대로 갔는지 거기서부터 문제였네요. 주변에 미국에서 거주하는 서울대 등 탑권의 대학출신들한테 조언을 구했으면 그런 실수는 안했을텐데…적어도 미국 등해외에서 중고등학교 마치고 서울대(,말로하는 인문계말고..) 등으로 역으로 오는 것은 자살행위입니다,. 그 반대는 몰라도…
얘기가 길어졌는데..결론적으로 제 생각엔 재정문제만 해결되면 미국대학으로 갈수 있으면 지금이라도 가는게 좋을 듯합니다. 고등학교 성적도 좋고 actsat는 조금만하면 쉽게 점수얻을수 있을테고 게다가 요즘엔 선택이란 얘기도 있고.. 단언컨대, 한결 공부하기 쉬울겁니다. 아니면 단언컨대, 서울대에서 학점 바닥으로 받고 겨우 졸업하거나 학사경고 받고 그만둘수도 있다고 봅니다. 해외고등학교때 우둥하던 학생이 한국에서 공부를 못한다는 자괴감 하나때문에 인생자체가 피폐해질수도 있어요. 인생전환을 위해서라도 미국대학으로 가시길. 미국과 서울대학 두곳에서 다 공부하고 미국현지 중고등학교 및 대학실정을 너무 잘아는 저로서는 이렇게 냉정하게 판단할수 밖에 없습니다.
딱 말한다. 다 닥치고 서울대가 최고다.
1. 서울대는 무너지지 않는다. 그 어떤 정치적 시대적 흐름이 있어도 서울대는 정점이었다.
40년 전 물리학과? 다 죽었다.
20년 전 법대? 죽진 않았어도 위상은 많이 떨어졌다.
그리고
10년전 공과대 제일 끝에 있던 게 컴공이었다.
5년전만해도 지거국 의대가 설대 공대에 못비볐다.
이처럼, 학과들의 우위는 빠르게 바뀐다. 당장 지금 의대도 무슨 꼴이 날 줄 모른다. 지금 짱인 것 같은 의대도 순식간에 물리학과 법대 꼴 날 수 있다. 지거국 의대가 설대 공대에 비비지도 못하는 날이 반드시 다시 도래할 것이라 나는 믿는다.
그러나 서울대는 절대 죽지 않는다. 왜? 서울대니까. 서울대학교가 경성제국대학이던 시절부터 서울대학교는 조선 최고의 대학이었다. 이는 바뀐 적이 없다. 최소 오십년, 길면 백년의 역사가 증명한다. 서울대는. 언제나. 짱이었다.
2. 모두 의사가 짱이라는걸 알았다.
주식 가격이 가장 높을때는? 모두가 그 주식이 짱이라는 걸 알았을 떄다.
모두가 짱이라는 걸 안 주식(10만전자라던가... 카카오라던가...)는 한번 상한가를 찍은 후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지금 의사 대우는 내가 보기에도 짱이다. 나이 들수록 연봉이 줄어든다는 디메리트가 있긴 해도, 정말 class가 다른 연봉을 보여주고 있지 않는가?
그런데 이젠 모두가 의사 대우가 짱이라는 것을 알아버렸다.
정치권이 그리고 국회가 의사를 아무리 줘패도 모두가 뭐라 하지 않을거다.
정치권이 의사를 더 대우해질 일은 이제 없을 것이다. 그 즉시 지지율이 떨어질테니까.
의사대우는 더이상 낮아지면 낮아졌지 높아질 일은 없다.
3. 공대낭만
카카오 김범수?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네이버 이해진? 서울대학교 전자계산기공학과인 동시에 KAIST 석사
넥슨 故 김정주?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인 동시에 KAIST 박사수료
신화는 항상 공대에서 나온다.
공대는 세상을 바꾼다.
공대만세
하면된다 學業報國
어제 동창회 다녀왔다 현실알려준다. 서울대 농대 vs 연대 응용통계
동창회 다녀왔다.
결론부터 말한다. 문과는 개씹창이다.
이글보는 고딩들. 1학년 남학생이 있다면
수능 다시보고 급간 낮은 대학 이과로 가라.
동창회 갔더니 나온애들 대부분이 이과애들
이과애들 대부분이 대기업 취업함.
일부 cpa같은 전문직도 있으나 이마저도 수학과출신
내 절친이 서울대 농대갔다. 당시에 좆도 모르는 고딩마인드로
나를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농대갈바엔 고대 이과대 간다햇다
1학년때만 해도 연대 응통들어간 친구가 농대간애한테
농대가서 뭐하냐며 존나 노답이라고 비꼬곤했다.
현재 그친구 석사 밟고 농촌진흥청 연구사(5급) 들어갔다.
존나 잘나간다.
연대 응통다니는 놈 1학년때 학벌로 여자후리고 존나 나대더니
2학년때부터 정신차린다고 행시준비함
2년하다 폭망하고 군대갔음
제대하고 복학뒤 공기업간다고 열라공부함.
공기업 채용존나 줄음 .결국 폭망
취업한다고 1년 허비하다가
취업안되서 대학원간다드라.
이게 현실임......
연대간애가 전교5등안팍였는데 존나 찌질해짐.
반에서 3~4등하던 애 교대가고 지금 선생질 하면서 잘만 먹고삼 .
참고해라. 학벌이 문제가 아니다.
문과 스카이.? 고시 안되면 진짜 개쓰래기 이도저도 아닌 인생된다.
서울대의 장단점 나름 정리해볼게요
저는 지금 서울대 3년째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뭐 오르비에서 너무 서울대를 신격화 시키다시피 하는데..
서울대 그렇게 신적이진 않아요.
서울대가 나름 타 대학교보다 좋은 점은 꽤 있습니다.
같은 과중에 고르면 당연히 타 대학들보다 서울대를 고르죠.
하지만 뭐 서울대 안가면 인생 망하고 그런건 아닙니다. 그냥 뭐 버프를 받는 것 뿐이죠.
그냥 롤 처음 배치받을 때 골드 5티어 받느냐 실버 1티어 받느냐 이런 차이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처음에 분명 이득은 있지만, 노력 여부나 본인의 재능에 따라 나중에 얼마든지 뒤집을 수 있는 그런 차이요.
서론이 너무 길었네요. 그럼 본격적으로 서울대가 가지는 메리트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1.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의 수준
어느 대학교나 괴수같은 사람들은 존재하고, 천재는 있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서울대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문과의 경우 잘 모르겠지만, 이공계의 경우 연대나 고대 등에 비해 서울대에 천재의 '비율'이 높아요.
카이스트나 포항공대도.. 꽤 천재의 비율이나 잘, 그리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 친구들의 비율이 높습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본인이 공부해보면 압니다. 주위 친구들이 같이 스터디 하자는 분위기인지,
아니면 뭐 시험 그까이꺼 던져버리고 롤이나 때리러 가자는 친구들인지.
연대나 고대 이공계열 다니는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거기서도 나름 열심히 하려고 하지만, 주위 친구들은 공부하는 분위기가 아니라서
스터디 인원 구하기가 매우 힘들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서울대의 경우 방학 때 다음학기 예습 스터디 구하기도 매우 쉽고 그렇죠.
전체적으로 학구적(??)인 분위기가 꽤 있습니다.
게다가 모르는 것이 생기면 물어볼 친구들도 엄청 많죠.
이게 정말 서울대가 가질 수 있는 엄청난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2. 등록금이 싸고, 장학 제도가 잘 되어있다.
나름 국립대이다 보니, 사립대에 비해 등록금이 저렴하고, 그리고 나름 장학금도 잘 나옵니다.
서울대생 중 60~70%가 장학금을 받고 다닙니다. 물론 서울대생이 실력이 일반적으로 좋다보니
실력으로 받는 장학금은 뭐 거의 독식한다.. 라고 보실 수도 있지만, 대부분 장학금이
대학별 쿼터가 있기 때문에 서울대 독식은 불가능하며, 저 높은 장학금 수혜율이 보여주는 것은
서울대 자체적으로 장학 시스템이 괜찮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 교수진, 시설이 뛰어나다
가르치는 교수들의 수준, 그리고 시설은 국내 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논란거리가 좀 있을 것 같기도 한데, '대체적으로'는 같은 과로 따졌을 때
서울대가 교수진과 시설이 제일 좋다고 충분히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례는 언제나 존재하는 법. 이건 좀 뒤에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봤을 때, 자신을 가르치는 사람의 수준이 높고,
공부하는 시설이 좋다는 것은 큰 메리트입니다.
자신의 실력을 쌓는 것에 큰 도움이 되죠. 이것은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의 수준과는
다른 의미로 이득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너무 장점만 살펴본 것 같은데, 단점(??)도 살펴봅시다.
음.. 단점..?? 이라고 하기에는 명백하게
1.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2. 주위에 잘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기가 죽을 수 있다.
3. 캠퍼스가 너무 넓고 안이쁘다
정도인데.. 이건 위에서 말한 메리트에 비해 작은 단점이죠.
음.. 단점을 언급하고 싶었는데 ㅋㅋ 뭔가 단점이 매우 적은?? 밸런스 안맞는 글이 되어버렸네요.
그리고 단점이라 하기에는 뭐하지만, 아까 장점 3번에서 언급했던 부분을 더 짚고 넘어가보려 합니다.
사실 각 대학별로.. 특성화된 분야??가 좀 다릅니다.
수학을 예로 들어볼게요.
수학의 경우 그냥 수학! 이렇게 있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도 세부적으로
해석학, 대수학, 기하학 등등 이렇게 나뉩니다.
게다가 교수님 전공 분야로 들어가면
해석적 편미분방정식을 연구한다던지, 아니면 대수기하, 해석기하, 암호론,
표현론, 아니면 좀 더 세부적으로는 갈루아 군이나 어떤 특정한 수학적 집합..(?)
을 연구한다던지.. 이렇게 나뉩니다. 그런데, 단순히 '해석기하' 쪽으로만 놓고 본다면
연세대의 교수진이 서울대의 교수진보다 실력이 출중하다고 합니다. (들은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세부적으로 나뉘면 서울대가 타 대학에 비해 밀리는 부분도 분명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까 '대체적으로' 서울대가 타 대학보다 좋다는 말을 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특정한 A분야를 연구하고 싶은데,
A분야에 대해서는 서울대보다 타 대학이 더 강할 수도 있는 것이죠.
천문의 경우도 서울대 천문은 이론쪽이 강하고, 연세대 천문은 실험쪽이 더 강하다는 평입니다.
(이는 서울대 물천 지인들이 직접 말해준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는 타 대학도 충분히 메리트를 가질 수 있는 것이지요.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 수준에서는 우리가 뭘 연구할지 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서울대에 가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결론을 내리자면, 서울대의 장점으로는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의 수준, 값싼 등록금, 뛰어난 교수진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런 메리트로 인해 일단 학창 시절에는 서울대에 가놓는 것이 유리하긴 합니다.
하지만 그냥 유리할 뿐이지, 이거로 인생 다 결정되거나 하는건 아닙니다.
서울대랑 기타 대학으로 나뉜다느니 그런거 정말 개소리입니다.
뭐 일부 예시를 들면.. 고대 다니는 제 친구가 서울대 교환학생으로 와서 계절 들었는데
강좌 탑 먹고 가기도 했습니다.
그러니까 어느 대학을 가든, 거기서 본인이 열심히 하고 공부하시면 됩니다.
아 물론, '수험생' 수준에서 자신의 미래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서울대에 가는 것이기 때문에, 서울대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너무 목매달거나, 여기 못가면 뭐 인생 망했느니 이런 생각은 하지 마세요.
서울대를 가야하는 이유 중 하나
서울대를 가야하는 이유 중 제일 큰건. 서울대가 순혈주의가 개쩐다는거임.
흔히 서울대가 학벌주의에 최고점에 위치에 있다고 하는데, 서울대가 학벌주의로 욕을 먹는 이유는 선후배 사이 밀착한 관계때문이 아님. 오히려 서울대는 굉장히 개인주의적 성격으로 선배 후배 웬만하면 간섭 안해. 왜냐면 굳이 신경쓰지 않아도 알아서 잘 하거든. 선후배 사이 밀어주고 끌어주는 학벌주의는 고대가 세지 서울대는 그런거 별로 없는편이야.
그럼 왜 서울대가 학벌주의의최고점이라고 말할까? 그건 서울대는 굉장히 엘리트주의로 뭉친 집단이라 서울대 말고는 제대로된 대학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야. 서울대 내부에서는 서울대 미만은 다 쓰레기 대학임. 친구들이랑 술자리 가질때마다 맨날 하는 얘기는 연대이하 빠가라는 얘기를 많이 하더라고(...내가 했다는말은 아니고) 그래서 서울대 사람들은 오직 서울대만 인정하는거지. 이게 이들 특유의 순혈주의의 시작이야. 그리고 그 순혈주의는, 현재 재학생만 그런게 아니라 서울대 나온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마인드야. 서울대 추신 교수, 서울대 출신 회사원, 서울대 출신 정치인들까지. 옛날에 이회창이 이런 얘기를 해서 큰 물의를 빚었었지. 기자가 고대나왔다니까 요즘은 고대나와도 기자할수있다고 굉장히 놀라워했거든. 이게 거의 모든 서울대생 머리속에 깔려있는 마인드야.
그래서 서울대가 많은 집단에서는, 서울대와 비서울대 사이에 유리천장을 만들더라고. 예를들어, 서울대에 교수로 채용되려면 서울대 학부를 나오지 않았다면 매우 뛰어난 성과를 내도 교수초빙이 잘 안됨. 요즘은 정말 뛰어난 성과를 내면 가능하긴 한데, 그렇게 서울대 교수가 되어도 정작 그들에게 돌아가는건 교수 커뮤니티의 은따와 학생들의무시야. 곽금주 심리학과 교수처럼(연대출신이야. 이사람이 누구냐면 옛날에 엠비씨 뉴스데스크에서 피씨방 전원내리는 실험했을때 찬조출현하신분), 비서울대 출신 교수는 말실수같은거 한번 했다가는 두고두고 학생들에게 씹힘. 곽교수도 10년전에 실수한번 했다가 지금까지 씹히고 있는중인거고...
그리고 서울대 대학원에 진학한 타대생들은 철저히 서울대 사회에세 아웃사이더 취급해. 정작 서울대 내에서 서울대 대학원가기는 정말 쉽고 외부에서 서울대 대학원가는선 무지무지 까다로운데 말이지. 서울대에서 대학원 가는건 진심 4년동안 공부하나도 안해도 갈 수 있어. 오히려 타대생들이 서울대 대학원을 꿈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했을걸? 하지만 그들은 교수에게도, 대학원생에도, 학부생에게도 무시당할 뿐이지. 서울대 로스쿨같은 전문대학원 역시 서울대 나오기만 한것으로 비서울대보다 거의 리트 30점인가?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그정도 내부족우로 가선점으로 준다고 하더라고.
그리고 외부에서도 이건 마찬가지야. 서울대 중심으로 이루어진 사회에서는 비서울대 출신을 철저히 무시하고 배제함. 나는과학고를 나왔는데 말야. 선생님들이 대부분 서울대 출신이고 몇몇 비서울대 출신이 있었는데, 그 비서울대 출신 선생님들은 거의 선생님들사이에서 왕따였음.
솔직히 나도 서울대 다니는데 이런점이 좋은거라고 얘기하지는 않을게. 하지만 뭐 나에게는 이득이니까 이용할 수 있을때까지는 이용해먹으려고.
대학 3대 名門 -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기질 비교
오래된 기사인데 재밌어서 퍼와봤어요
연세대 출신은 왜 정치를 안 할까. 아니 좀더 정확하게, 왜 연세대 출신 국회의원은 별로 없을까-.
당초 이 기사는 이처럼 피상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연세대 출신이 전혀 정치를 안 한다거나 국회의원이 전무(全無)하다는 얘기는 물론 아니다. 다만 언필칭 우리 사회에서 명문대 혹은 일류대로 일컬어지는 3개교, 곧 서울대·고려대·연세대를 비교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상대적으로 연세대 출신 정치인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그것도 다른 두 학교 출신 정치인에 비해 무척 적어 보인다는 의미다. 기자는 우선 피상적으로 던진 그 질문이 타당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연세대 출신 국회의원이 얼마나 되는지 현재의 16대 국회에서부터 따져봤다.
그 숫자는 얼추 앞의 ‘질문’내용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273명의 전체 국회의원 가운데 연세대 출신은 17명, 6.2%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서울대는 104명으로 무려 38.1%, 고려대만 해도 35명으로 13% 가까운 의석을 차지(?)했다. 3개교 출신 국회의원 수를 비교했을 때 단연(?) 연세대 출신이 적은 것이다.
img2R기자는 거듭 14대와 15대 국회에 대해서도 3개교 출신 국회의원 수를 세었다. 결과는 ‘연세대 출신 국회의원이 역시 적다’는 현상을 거듭 확인시켜 주는 것이었다.
15대 299명의 국회의원 중에서도 서울대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은 117명(39%), 고려대 출신이 그 다음으로 39명(13%)이었던 반면 연세대 출신은 15명으로 5%에 그쳤다. 14대 때도 그 같은 분포도는 다르지 않았다.
전체 299명 중 서울대 출신 국회의원은 94명(31.4%)이고 고려대 출신이 37명(12.4%)인데 비해 연세대 출신은 18명으로 6%였다. 우스갯소리로 만약 서울대당·고려대당·연세대당을 결성한다고 했을 때 연세대 출신은 아예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을, 그것도 14, 15, 16대 내리 3대 국회에 걸쳐 갖추지 못했을 정도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일까.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면서 궁금증은 자연스럽게 연세대의 기질은 어떤 것인가 쪽으로 옮겨갔다. 그리고 그것은 다시 SKY, 곧 서울대·고려대·연세대 3개교의 기질 비교로 커졌다. 지금까지 이들 3개교의 기질에 대한 얘기들은 그야말로 구전설화(口傳說話)로만 전해져 왔다. 이 기사는 그것을 ‘문자화’해 보려는 첫 시도다.
초·중·고 학생을 둔 가정에서, 학생 자신이든 학부모든 이들 대학을 한 번이라도 머릿속에 그려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회에서 생업을 꾸려갈 때도 이들 3개교 출신과 싫든 좋든 인연을 맺지 않고 생활하는 경우도 드물 것이다.
인구에 비해 그 수는 적지만 ‘스카이’ 혹은 ‘스카이 출신’은 사람들의 관념 속에, 또 실제로 우리 사회 어디나 존재하면서 개인·조직·사회에 음으로 양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집단이다.
이런 배경에 비추어 기자는 이 기사가 거창하지는 않더라도 세 가지쯤의 효용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하나는 지금까지 말로만 떠돌던 SKY 기질에 관한 얘기들을 어떻게든 사회·문화적인 비교 탐색을 통해 좀더 구체적, 현실적인 수준으로 정리했다는 점이다.
또 그것을 통해 허다한 (예비)입시생들과 그 가족에게, 엄연히 존재하면서도 지금까지 각 대학의 안내서에는 전혀 나온 적이 없는 SKY(출신)의 기질이 어떤 것인지 희미한 정보를 줄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나아가 사회 각계각층에서 생업을 꾸려가며 싫든 좋든 SKY 출신과 이래저래 대면(對面)하지 않을 수 없는 많은 사람들에게 SKY 출신 ‘인사’들의 기질에 관한 일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3개교 각각의 기질은 어떤 것인가. 물론 그것을 가로 세로 금을 딱딱 그어가며 잘라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3개교와 그 구성원, 그리고 그 졸업생들에게는 저마다의 독특한 집단기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대다수 사람들은 인식하고 있다. 먼저 SKY라는 집단의 ‘크기’부터 얘기를 시작하자.
精銳 70만
이들 3개교는 지난 100여 년 동안 모두 70여 만명의 졸업생을 배출해 왔다. 뒷단위들을 빼고 2001년까지 서울대가 26만명, 고려대가 21만명, 연세대가 23만명이다. 5,000만명에 육박하는 우리 인구 중 70만명이라면 별것 아닐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70만’이 아니다.
명실공히 한국의 정예(精銳)다. 우리 사회의 상층부에 포진해 국가의 정치·경제 ·사회·문화를 이끌어 왔고 지금도 이끌고 있는 엘리트집단이다. 그들을 왜 엘리트라고 부르는지 기자는 뒤에 각종 수치를 바탕으로 상술(詳述)할 것이다.
SKY의 기질 탐색에 들어가기 전에 독자들이 감안해 주셔야 할 것이 있다. 이것은 이 주제에 대한 탐색이 어떤 수학적 계산과 근거에 따른 ‘계량적’(計量的)인 것이 아니라 문화적, 관념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서울대 출신은 이렇고 고려대 출신은 저렇다, 또 연세대 출신은 이거다 하는 식으로 딱부러지게 그 특성을 단정짓기는 어렵다. 또 그 학교를 나온 사람은 예외없이 모두 그렇다고 말하는 것도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개개인의 특성과 각 학교의 집단적 특성 혹은 집단적 기질이 합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도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 그러면 SKY는 과연 어떤 특성과 기질을 갖고 있는가. 그들은 어떻게 같고 무엇이 다른가. 먼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이들 각 학교의 기질을 잘 알 것으로 여겨지는 해당 졸업생들의 견해부터 죽 모아 보는 것으로 얘기를 시작한다. 82학번으로 1986년 서울대를 졸업한 이창현(신문학) 국민대 교수의 심플한 3개교 비교.
“서울대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자기중심적이다, 엘리트 지향성이 강하다, 엑스클루시브(exclusive)한 선민(選民)의식 같은 것이 있다, 상대적으로 다른 대학 출신들보다 폐쇄적이다, 대중정서와 좀 떨어져 있다 같은 것들입니다.
연세대는 독수리가 우선 떠오르는데, 그것이 미국의 국조(國鳥)이기도 하지만 다분히 서구적이다, 리버럴하다, 그러면서 얄팍하고 가볍다 뭐 그런 이미지고요. 고려대는 반면 어떤 전통적 측면이 강하고 우직하다, 신파극(新派劇) 같다, 깡패 근성이 있다, 대단히 서로 집착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외형만 봐서는 조폭적이라고도 할 수 있을 거예요. 실제로 그만큼 결속력이 강하니까요.”
이교수는 어디서 그런 차이들이 생겨났다고 보고 있을까.
“고려대생이나 고려대 출신부터 보면 우선 그들은 내부적으로, 스스로 집단의식을 강화해야 생존할 수 있다, 그런 데서 기질이 형성된 것 아닌가 싶어요. 제가 실제로 통계는 뽑아 보지 않았지만 고려대는 지방 출신 학생이, 특히 호남쪽 연원(고려대 발전의 기틀을 닦은 인촌 김성수가 고창 출신임을 의식한 듯)을 갖고 있다, 그런 이미지가 있잖습니까. 또 학생들은 서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 단계 아래 석차’로 구성됐다는 무의식도 있을 테고요. 그런 무의식들이 작용해 ‘우리는 뭉쳐야 한다’는 어떤 집단 무의식이 기질로 승화된 것 아니냐, 저는 그런 생각을 해봤어요.
서울대는 본래 관립(官立)으로 출발해 민중지향성이라기보다 고급 지배집단을 만들어내는 성격이 강했고, ‘석차로 1등’을 선발해 충원했어요. 그들은 안 그래도 일찍이 초·중·고 시절부터 ‘1등 의식’을 갖고, 또 주변에서도 그런 시각으로 그들을 대하던 환경에서 성장해온 캐릭터들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모였으니 다른 어떤 집단보다 ‘우리가 최고’라는 무의식과 ‘계속 최고여야 한다’는 권력·지배 의지가 심어졌을 겁니다.
연세대는 설립자도 외국인 선교사들이고 시간이 갈수록 신촌문화, 좀더 젊고 개방적인 문화와 어우러지면서 분위기가 형성돼 나갔다고 볼 수 있겠죠.
여학생 수도 각 학교에 영향을 주는 요소였던 것 같습니다. 서울대와 고려대는 여학생이 좀 적었고 연세대는 상대적으로 많았잖아요? 남성은 아무래도 권위, 전통 같은 이미지쪽이고 여학생의 경우 개방, 탈권위, 국제화쪽이라고 볼 수 있죠.”
3개교의 뚜렷한 차이에 대해서는 “그들이 내뿜는 힘(力)이 다르다”고 말한다.
책·막걸리·구두
“연세대는 개인의 매력, 고려대는 집단의 힘, 서울대는 제도화된 권력이라고 봐요. 또 연고대는 감성지수(EQ)가 강한 편이죠. 사람과 사람이 서로 부대끼면서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관계를 맺고 거기서 감성지수가 높아지거든요. 반면 서울대는 역시 IQ(지능지수)예요. 제가 학교에 다니는 동안 줄곧 느꼈던 분위기가 ‘아, 여기는 IQ 경연장 같다’는 것이었거든요. 고시를 통해 권력을 잡는다 해도 역시 관건은 IQ니까요.
거기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현상이 당장 사회에서의 관계뿐만 아니라 내부적으로 선후배간 관계의 어떤 특수성입니다. 연고대는 단지 선배라는 이유만으로 후배를 심복(心服)시킬 수 있지만 서울대는 그것이 어렵죠. 아니, 솔직히 저는 그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봐요.”
서울 이화동에 있던 ‘서울법대’ 68학번인 현 서울대총동창회 이세진 사무총장이 들려주는 SKY론, 특히 서울대론.
“지금까지도 유행하는 격언(?)이 그때도 있었어요. ‘100원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 보고 고려대생은 막걸리를 사 먹고 연세대생은 구두를 닦는다’는 얘기죠. 서울대의 창학(創學) 정신은 학문, 곧 진리탐구예요. 진리에 대한 도전, 진리에 대한 실천, 그런 것이 은연중에 학생들의 사고에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물론 대학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서울대는 그것이 대단히 강하다, 그렇게 봐요. 연세대는 아무래도 고려대나 서울대보다 리버럴해요. 기독교 재단이고 외국계 재단이라서 그럴 수 있을 겁니다. 고려대는 거기에 비해 좀더 보수적, 뭐랄까 전체주의적(웃음)이랄까, 그런 분위기고요.”
그는 뜻밖에 기자가 맨 처음 생각했던 질문, 곧 ‘연세대생은 왜 정치를 안 할까’에 대해, 기자가 묻지도 않았는데 먼저 얘기를 꺼냈다.
“내가 오랜 시간 가만히 봐오니 연세대 출신들은 정계나 관계로 진출을 잘 안 해요. 서울대나 고려대는 상대적으로 연세대보다 많이 진출하는데 말이죠. 능력면에서 다른 두 학교와 비교해도 연세대 출신이 뒤떨어지거나 못할 게 없잖아요? 그런데 그걸 잘 안 해요. 그 이유를 내가 곰곰이 따져봤는데…. 정치라는 것이 결국 사람과의 관계, 어떤 네트워킹, 사람을 동원하고 뭐 그런 것 아니겠어요? 그런데 연세대 출신들은 그런 것에 별로 메리트를 못 느끼는 것 같아요. 권력지향성도 상대적으로 적고…. 대신 자유롭게 내 사업, 내 일을 즐기는 스타일이라. 나는 그것을 연세대 출신의 안분자족(安分自足)이다, 그렇게 표현하고 싶네요.”
세 학교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학교가 지향하는 이념도 중요하지만 우선 어떤 학생들이 그 학교에 많이 가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면서 이총장은 이렇게 말을 이었다.
“애당초 각 학교에 들어가는 학생들이 전에는 달랐던 것 같아요. 연세대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가정적으로 뭐랄까, 좀 중산층 이상이라고 봐요. 상대나 의대를 제일 쳐줬는데, 그게 가정적으로 안정된 학생들이 많지 않았나 싶고. 고려대는 법대가 강했던 것 같은데 거기 촌사람들이 많았을 거예요. 그래도 서울대보다는 좀더 형편이 나은 학생들, 시골에서도 서울대 지원자들보다 좀더 형편이 나은 사람들이 갔을 거예요. 아무래도 돈이 드는 사학(私學)이니까. 서울대는 나도 촌(부산)에서 올라왔지만 대부분 쫄쫄 가난한 수재들이 많았죠. 그때는 중학부터 입시를 거쳐 올라왔으니 어릴 때부터 자기가 처한 환경에서 꿈꾸는 것이, 지원하려는 대학이 애당초 달랐어요. 또 성적이 그렇게 일찍부터 서열화돼서 자기가 지원하려는 목표 대학이 뚜렷할 수 있었고요. 그러다 보니 서울대는 (등록금이) 싸서, 또 일단 들어오면 주변에 과외를 해가면서 독학할 수 있었으니까 어려운 사람들이 많이 지원했죠. 또 환경이 어렵다 보니 다른 학교 학생들보다 좀더 입신양명(立身揚名)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었다고도 볼 수 있죠.”
그러면서 그는 ‘격세지감’도 덧붙였다.
“서울대 정운찬 총장이 새로 취임하고 점심식사를 하는데 ‘앞으로 전국에서 학생들을 뽑아야겠다’는 거예요. 지금은 과외들을 해서 가정적으로, 환경적으로 좀더 나은 서울의 강남이나 신도시 같은 데서 서울대에 주로 들어온다, 그러니 서울대가 ‘국민의 대학’인데 그렇게 편중되게 들어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얘기죠. 격세지감을 느꼈습니다.”
고려대로 넘어가 보자. 고려대생이나 고려대 출신의 기질에 대해서는 고려대 국문학과 56학번 ‘대선배’이자 현재 한양대 교수로 정년을 바라보는 박노준 교수가 여러 사람의 의견을 한데 모아놓은 듯 차분히 정리해 주었다. 그는 A4용지 두 장의 앞뒷면을 빼곡이 채운 메모를 들고 고려대에 대해 이렇게 ‘종합’했다.
“한 40년을 학교에 있으면서 가만히 보니 SKY 3개 대학의 가장 큰 차이는 ‘집합성’ 같아요. 서울대는 집합성이 없어요. 고연대는 있고(대학에 들어간 이후 5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박교수는 고려대 출신답게 ‘연고대’가 아닌 ‘고연대’를 고집한다) 그 중에서도 고려대가 집합성이 가장 강해. 내가 고려대를 나왔으니 고려대 얘기를 좀 할게요. 고려대 기질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나는 일곱 가지로 뽑아 봤어요. ▷민족대학 ▷지성과 야성 ▷말 그대로 교우(校友) 간의 단합 ▷촌스러움과 투박함 ▷성실 ▷추진력 ▷막걸리죠. 그런 키워드에 어울리게 고려대는 생각과 행동의 선이 굵습니다. 크게 생각하고 행동하죠. 포용력도 대단히 뛰어납니다. 그래서 고려대생의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 바로 ‘극단적 파국을 기피한다’는 겁니다. 그것이 시대를 넘어 변하지 않는 고려대의 원형질(原形質)이라고 봐요. 1950년대에 학교에 들어오니 본관 앞에 현수막이 탁 붙어 있는데 구호가 뭔고 하니 ‘행동하는 고려대에서 사색하는 고려대로’야. 그러니 참 얼마나 고려대가 액티브한 학교인지 알 수 있잖아요? 그것이 나중에 1970년대 김상협 총장 오시면서 ‘지성과 야성’으로 바뀌었어요. 그게 지성뿐만 아니라 야성도 좀 갖추자는 게 아니라, ‘이제 야성을 좀 죽이고 지성도 좀 갖자’는 거라. 그게 바로 고려대의 전통이고 본능 아니겠어요?”
이번에는 고려대 신문인 ‘교우회보’ 편집국장을 지낸 H교수의 견해.
“사실 ‘고려대스럽다’거나 ‘연세대스럽다’는 것은 머리에 쉽게 탁 떠올라요. 그런데 ‘서울대스럽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저는 탁 떠오르지 않습니다. 아마 사학으로서의 고려대나 연세대는 자발적으로,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주체적으로 움직이면서 보이지 않는 그 뭔가를 형성하고 또 액션이 이뤄지면서 그런 기질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고 봅니다. 반면 관(官)이 설립을 주도하고 학교도 운영해 오고 또 전체 단위가 아니라 단과대별로 성장해온 서울대는 상대적으로 그런 기질이 자연발생하기 어렵지 않았나 싶거든요.”
3개교 병원 영안실도 달라
그러면 ‘고려대스럽다’ ‘연세대스럽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H교수는 다른 이들과는 다른, 독특한 얘기를 꺼내 답변했다.
“사람의 생로병사(生老病死)에 대한 시각조차 다른 게 아닌가, 좀 엉뚱하게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어요. 제 집사람이 큰아이는 고려대병원에서, 작은아이는 세브란스병원에서 낳았거든요. 그때 그러더라고요. ‘세브란스쪽이 고려대병원보다 한결 차분하고 깔끔하고 안정돼 있는 것 같다’고요. 그것을 생명이 태어나는 분위기라고 한다면 생명이 떠나가는 분위기도 있지 않겠어요? 영안실 말입니다. 세브란스병원 영안실은 잘 아시죠? 문상을 가도 술 한잔 걸치고 앉아 고스톱치고 할 공간이 없어요. 문상만 깔끔하게 하고 식권(食券) 받아 식사하러 가도록 돼 있잖습니까. 고려대는 전혀 달라요. 고려대병원 영안실은 최근에 새로 지은 최첨단형인데도 문상도 하고 조문객들이 둘러앉아 술도 마시고 고스톱도 치고 하는 전통적 분위기의 공간이 널찍하게 마련돼 있어요. 그렇게 달라요.”
서울대의 특징, 기질은 그 뒤에 이어진다.
“군생활을 사관학교 교수요원으로 했거든요. 아마 서울대 출신이 전체의 절반 정도였죠? 다수가 서울대 출신이고, 그 다음 고연대 출신들이고 그래요. 이래저래 학번으로 따져 3개 대학 선후배들이 다 같이 생활하게 됩니다. 거기서 흥미로운 것은 고려대는 고려대 선·후배 간에, 연세대는 연세대 선·후배 간에 형 아우 하거든요. 또 고려대와 연세대 사이도 친해서 쉽게 그런 관계와 호칭으로 터놓고 지내고요. 고연대와 서울대 간에도 그런 관계는 흔해요. 그런데 딱 한 가지, 같은 학교 출신끼리도 형 아우가 아니라 군대 계급으로, 공식적인 관계로 지내는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서울대 출신들이에요. 여간해서는 그런 사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공식적인 계급으로 지내는 거예요. 아, 저런 것이 바로 대학의 기질이나 문화겠구나, 그런 생각을 했죠.”
그는 “과연 해방후 ‘국립서울대’ 출신들이 일제시대의 ‘경성제대’ 출신을 선배로 볼 것인가” 물으면서 “서울대는 어떤 단일학교로서의 전통성보다 역시 단과대의 전통이 중시되는 것 같고, 더욱이 ‘똑똑함’이 최고의 덕목인만큼 선후배 관계랄까 ‘피의 정통성’ 같은 의식은 희박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인다. 그러면서 H교수는 “장인어른이 서울대 출신이신데, 집사람이 ‘서울대 출신과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해서 저와 결혼했다”며 웃는다. 그 대목은 앞서 서울대총동창회 이세진 사무총장의 얘기와 글자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다. 이총장 역시 “우리 딸들은 서울대 출신은 재미없다며 서울대 출신과는 결혼하지 않겠다고 다짐한다”고 했다. 어떻게 재미없다는 것일까. H교수의 개인담.
“연애 때부터 장인을 보면 모든 것이 원리원칙이고 남한테 예의상 말고는 머리를 수그리는 법이 별로 없으세요. 깐깐하시죠. 술을 드셔도 과음하는 법이 절대 없고, 식사를 해도 과식이 없으세요. 하루 일과, 즉 기상시간·식사시간·취침시간 같은 것이 칼같이 일정합니다. 별로 파격이 없고, 뭐랄까…. 탁 터놓고 서로 엉킬 수 있는 인간적 매력 같은 것이 좀 적죠.”
고려대는 어떨까.
“이런 얘기 해도 되는지 모르겠는데…. 몇 년 전에 김덕룡 의원과 교우회에서 식사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 양반이 서울대를 나오고 나중에 이쪽에서 대학원을 했죠. 그 인연으로 고려대 교우회에 자주 나오거든요. 그분이 그래요. ‘이렇게 사람 냄새가 물씬한 데를 찾아보기 어려워서 내가 이쪽 교우회를 자꾸 찾게 된다’는 거였죠. 고려대는 한 마디로 사람 냄새가 나고 우직하죠. 술집에서 고려대 얘기를 떠들다 보면 옆에 앉아 있던 나이 드신 어른이 슬그머니 일어나 술값을 내주는데 ‘내가 니들 선배’라는 거예요. 고려대 출신이라면 그런 경험 한두 번쯤은 갖고 있을 겁니다. 서울대가 그러겠어요, 연세대가 그러겠어요? 전에 일본에서 다른 사람 대신 목숨을 버린 이수현이나 얼마 전에 소매치기를 쫓다 교통사고로 사망한 그 친구 둘 다 고려대 출신인데, 나는 그것이 우연이라고는 보지 않습니다. 무의식에 고려대 기질이 들어 있다고 봐요. 그것은 불의를 보면 일단 덤벼드는 정의감, 남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공존심이랄까 결속력이죠. 똑같이 옷을 입고 술을 먹어도 그가 고려대생인지 아닌지는 교가(校歌) 부를 때 알아요. 연세대생이나 서울대생은 제가 장담컨대 자기 학교 교가 끝까지 아는 사람 드물 걸요? 고려대생은 교가 다 알아요. 고려대생은 설사 체육경기 같은 데서 진다고 해도 끝까지 교가 다 불러요. 독특하죠.”
포장마차에서의 육박전, 그러나…
몇 년 전 기자가 ‘월간중앙’ K부장과 밤늦게 포장마차에서 술을 마시다 다른 술패와 싸움이 붙었던 일이 생각난다. 양쪽 다 벌겋게 취한 상황에서 시비가 붙어 주먹질로까지 발전했는데, 잠시후 알고 보니 저쪽이 고려대 출신들로 K부장의 대학 후배들이었다. 이후 상황은? 볼 것도 없었다.
그쪽이 깍듯하게 K부장에게 ‘형님’ 하면서 그 포장마차의 술을 거의 다 마셔버리는 상황으로 전환됐으니까. 술값은? 물론 K부장이 쐈다. 그 전말을 보면서 연세대 출신인 기자는 속으로 ‘내가 저런 상황이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그 같은 ‘기질’이 형성되는 원인에 대해 H교수는 학교의 설립 정신과 선후배 전통을 든다.
“그런 기질이라는 것이 그 학교의 눈에 보이는 제도나 커리큘럼에 의해 생기고 길러지는 것은 아니겠죠. 커리큘럼 이외의 시간과 상황들, 학과와 동아리, 출신 고교 인맥 등이 종횡으로 얽히고 설키면서 상승효과를 일으키고 서서히 어떤 기질을 몸에 배게 하는 것이겠죠. 고려대는 ‘민족’의 이름 아래 모두를 하나로 만드는 ‘사람의 용광로’라는 생각을 합니다. 배타적이지 않아요. 설립 정신이 그렇잖아요? 다른 학교 출신 교수님들도 고려대에 오면 곧 고려대인으로 동화됩니다. 또 전 세계에서 고려대만큼 ‘야성’(wildness)의 색채가 강한 대학도 드물 겁니다. 앞에서 세워진 그런 전통이 선후배 관계를 통해 죽 대물림하는 거죠.”
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연세대를 빼놓을 수 없다. 재학 시절 ‘연세춘추’ 편집장을 지내고 오랫동안 대중문화쪽을 연구해온 신문방송학과 강상현 교수의 견해.
“서울대다, 연세대다, 고려대다 하는 기질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어떤 정형화된 공통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을 겁니다. 그것을 다시 일일이 말하는 것보다 나는 서울대를 상징하는 키워드를 엑설런스(excel lence), 고려대의 키워드를 커뮤니티(community)라고 봐요. 연세대는 프라이버시(privacy)입니다. 각기 뉘앙스가 있죠? 서울대는 남과의 비교에서 우수함, 톱(top)을 지향합니다. 그것은 곧 철저한 자기관리와 엄격한 자기절제, 비정할 만큼의 부단한 자기노력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비해 고려대는 다른 모든 가치를 ‘공동체’ 안에 녹여 버리는 기질이 있어요. 고려대가 내세우는 정의감이라는 것도 사실 공동체의 행복을 지향하는 것 아니겠어요? 반면 연세대는 철저하게 자기 본위, 이기적인 어떤 부정적 의미의 개인성향이 아니라 보다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프라이버시를 추구합니다. ‘나는 당신을 100% 인정한다, 당신의 생각과 당신의 행동을 모두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그러니 당신도 나를 인정하고 나를 가만히 놔두라’는 의미에서의 프라이버시요, 자유죠. 서울대 출신도 개인주의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은 조직에서, 집단에서, 관계(關係)에서 위로 오르기 위한 개인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연세대의 개인주의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자체에서 떨어져 나와 있는, 위로 오르려거나 뭐 그런 의식을 갖지 않는 순수한 개인주의라고 할 수 있을 거예요. 비교가 적절할지 모르겠지만 서울대는 청와대나 여의도(국회) 성향이고, 고려대는 시골 부락 성향, 연세대는 서울에서도 강남(江南) 성향이라고 갖다 붙일 수 있을 겁니다.”
비유를 들어 얘기하기를 좋아하는 강교수는 “서울대생은 모과, 연세대생은 양파, 고려대생은 딸기”라고도 했다. “서울대생은 겉으로 보나 까놓고 보나 딱딱하고 맛이 없다. 연세대생은 쉽게 껍질이 까지지만 까도 까도 그 속이 잘 나오지 않고 친해지기 힘들다. 고려대생은 껍질을 깔 필요도 없이 그냥 와락 씹으면 달다”는 비유다. 그는 특히 개인주의 성향, 속을 잘 드러내지 않고 사람들과의 관계보다 자신의 행복, 자신의 철학을 더 중시하는 것이 연세대 기질이라면서, 그 원인에 대해 이렇게 분석해 주었다.
서울대=모과·고려대=딸기·연세대=양파
“미국 선교회 재단이 설립한 연세대는 개방된 서구의 가치 가운데서도 특히 ‘자유’라는 가치를 가장 많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그것이 방종과는 다르죠. 기독교적 절제, 기독교적 애타심에 바탕해 절제된 자유 의식입니다. 그 자유 의식, 자유 의지가 연세 100년을 지탱해온 중심 가치가 돼 왔습니다. 굳이 남의 위에 군림할 필요도 없고 내가 벌어 내가 행복하게 살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 되는 서구적 개인주의, 서구적 자유 개념이죠. 졸업후 연세대 출신들이 개인적으로는 서로 다 같이 친하게 잘 지내면서도 연세대라는 이름 아래 하나로 뭉치는 행위는 잘 하지 않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고 봅니다.”
그러면서 그는 저 앞에서 이창현 교수가 잠깐 얘기했던 ‘여학생 요인’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기질을 특징짓는 변수로 특히 여학생 요인이 나는 중요하다고 보는데, 사실 그런 점에서 연세대는 다른 대학보다 훨씬 ‘여성적’이었고 그만큼 남학생들도, 나아가 학교 기질 전체가 좀더 스마트하고 깔끔하고 세련되고 섬세한 쪽으로 발전하지 않았나 봅니다. 연세대는 일찌감치 의대로 시작했고 그에 이어 간호학부가 생기고 하면서, 또 기독교의 영향으로 국내 여성들에게는 다른 대학보다 훨씬 더 ‘여성에게 개방된 이미지’를 갖고 있었거든요. 그것이 여학생들을 앞서 끌어들이는 요인이 됐고, 시간이 지나고 여학생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그것이 학교 전체 분위기에 영향을 끼쳤다고 봐요. 상식적으로 판단해도 남자들만 있는 곳(가령 박노준 교수가 1956년 고려대에 들어갈 때 750명의 신입생 가운데 여학생은 10명선이었다) 하고는 아무래도 분위기가 확 다르지 않겠어요?”
1963년 고려대 유진오 총장이 연세춘추 10주년을 맞아 연세춘추에 기고한 글에서 연·고대를 비교한 것을 되읽어 보는 것으로 일단 ‘졸업생들이 말하는 SKY’편을 접는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여러 가지 점에서 대조적으로 다르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연세대는 미국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임에 반해 고려대는 한국인의 손으로 세워진 학교다. 연세대는 기독교 정신을 교육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 데 반하여 고려대는 민족주의 내지는 유교 정신의 색채가 강하다. 연세대는 서울 시내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 데 반하여 고려대는 동쪽에 위치해 있다. 연세대 학생은 스마트하고 하이컬러풍이 있는 데 반하여 고려대 학생은 좋게 말하면 실직(實直)하고 나쁘게 말하면 촌스럽다…. 연세대와 고려대는 확실히 서로 다른 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양교의 연혁·전통·경영자·학풍의 차이에서 오는 필연적 결과일 것이다.
하여간 나는 지난 30년 동안 양교 축구팀의 경기를 볼 때마다 양교의 차이를 느낀다. 연세대 선수들은 패스에 빠르고 적의 허를 찌르는 데 기민함에 반하여 고려대 선수들은 개인기나 적의 허를 찌르는 데는 둔한 대신, 완벽한 수비진을 치고 있는 적진에서 우격다짐으로 득점하는 거칠음(toughness)에 있어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언제나 느끼는 것이다. 양교의 연혁이나 학풍의 차이가 어떤 과정을 밟아서 이러한 데까지 미치는 것인지 신비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샌님·술꾼·제비
앞서 졸업생들의 얘기는 그동안 세상에서 SKY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던 이미지를 새삼 확인시키거나 SKY에 대해 새롭게 보게 하는 한 계기가 됐을 것이다. 기자는 졸업생들을 만나본 뒤 그들이 갖고 있는 관념이 과연 실제로 각 학교의 ‘현실’과 어떻게 서로 상관(相關)되고 있을까를 탐색해 보았다.
1982년, 기자가 연세대에 입학한 이후 근 1년여 동안 술자리 때마다 빼놓지 않고 불렀던 노래가 생각난다. 이 노래는 해당 SKY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에까지도 널리 알려진 것이었다. ‘영광 영광 할렐루야’라는 찬송가 곡에 가사만 바꿔 놓은 노래였다. 가사를 그대로 옮겨놓기가 민망할 정도다. 기사를 위해 ‘할 수 없이’ 그대로 소개하는 것이니 용서해 주시기 바란다.
‘관악골에 자리잡은 서울대학은 총장이 쪼다라서 교수도 쪼다, 교수가 쪼다라서 학생도 쪼다, 모두 다 쪼다, 쪼다 학교래’ ‘안암골에 자리잡은 고려대학은 총장이 술꾼이라 교수도 술꾼, 교수가 술꾼이라 학생도 술꾼, 모두 다 술꾼, 술꾼 학교래’ ‘신촌골에 자리잡은 연세대학은 총장이 제비라서 교수도 제비, 교수가 제비라서 학생도 제비, 모두 다 제비, 제비 학교래’ 하고는 후렴으로 ‘영광 영광 연세대학∼’ 하는 식이었다.
젓가락으로 술상을 두드려대며 꽥꽥 노래부르기 일쑤였는데 가사가 듣기 거북해서 그렇지 결코 다른 학교를 공격하거나 미워하거나 무시하거나 하는 악의(惡意)는 없었다. ‘역시 우리가 최고’라는 치기 어린 기승지심(氣勝之心)의 발로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 노래를 부르면서 사실 학생들은 자기 학교 말고 다른 두 학교에 대해 더더욱 친밀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각각 쪼다·술꾼·제비로 표현된 각교의 특성이다. 그 워딩(wording)의 중의(重義)가, 지금 생각해도 참으로 절묘하다 싶다.
서울대를 ‘쪼다’라고 한 것은 학생들이 공부벌레며 공부말고는 달리 하는 것이 없는 샌님임을 빗댄 것이었다. 고려대의 경우 “어디 고대만 술을 먹느냐”고 따지고 드는 분도 있겠지만 역시 다른 두 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술을 즐겨 마시고 그러면서 투박하고 거칠다는 이미지로 ‘술꾼’으로 표현됐을 것이다. 연세대는 외모에 신경 쓰고 행동거지가 남자답지 못하게 살랑거린다고 해서 ‘제비’다.
이것과 일맥상통하는 빗댐이 바로 앞에서 보았던 ‘책과 막걸리와 구두’다. ‘돈 100원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고 고려대생은 막걸리를 마시고 연세대생은 구두를 닦는다’는 그 얘기다. “그것은 우리가 대학을 다니던 1960년대에도 유행하던 말”이라는 이세진 사무총장의 기억처럼 그 같은 이미지 설정은 대단히 일찍부터 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총장은 친절하게도 각교의 주종(酒種)에 대해서까지 의견을 내주었다.
“대학생들이 다 어렵던 시절이니 술을 마셔도 사실 소주나 막걸리를 많이 먹었죠. 그때만 해도 맥주는 학생 신분에 좀 비싼 술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이미지는 또 그렇지 않아요. 서울대생은 학생 자신의 취향대로, 고려대는 막걸리, 연세대는 맥주라. 아닌게아니라 고려대 앞에는 걸쭉하고 질펀한 유명한 막걸리집들이 많았고 연세대앞 신촌시장 쪽으로는 맥주집들이 꽤 있었죠. 어쨌든 마시는 술도 그렇게 차이가 있다고 인식들을 했으니까….”
서울대 상징동물 鶴을 아시나요?
공부밖에 모르고 책에 머리를 묻은 샌님, 술에 절어 사는 술꾼, 구두 닦고 멋부리는 데만 신경쓰는 제비. 그런 반어적, 부정의 이미지를 긍정의 이미지로 휙 돌려놓고 보아도 세 학교의 특성은 그대로 이어진다. 당장 각 학교의 상징동물을 봐도 그렇다. 먼저 서울대는 학(鶴)이다. 까마귀들이 노는 곳에 어울려 물들지 않고 저만치 홀로 고고하게 서 있다. 술집을 순례하거나 연애하러 돌아다니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에서 책과 씨름하며 도도하게 자기 갈 길을 간다. 누군가 그런 ‘학’에게 다가가려고 하면 휙 날아간다.
고려대는 잘 아시다시피 호랑이다. 한차례 어흥, 포효(咆哮)하고는 자기 영역을 ‘활보’한다. 거리낌없다. 눈치 보지 않는다. 마치 술 한잔 걸치고 거리를 호탕하게 걸어가는 협객이요, 건달(乾達) 같다. 남의 일이라도 불의를 보면 언제든 달려들 기세다.
연세대는 날카로운 눈의 독수리다.
끊임없이 자신과 주변을 관찰하면서 자기관리에 철저하다. 날고 싶으면 창공을 마음껏 날고, 날기 싫으면 안 난다. 한편으로 독수리는 미국의 국조(國鳥)다. 그것은 자유와 용기를 상징한다. 미국 선교사들이 학교를 세웠다는 설립 배경과 함께 독수리는 연세대(생)의 자유로운 기질과 ‘열린 마음’을 상징한다.
학교의 색깔도 그렇다. 서울대는 흰색 또는 무색으로 표현된다(고려대 한승주 총장과 연세대 김우식 총장의 표현). 학(鶴)의 색깔이다. 무색, 무취, 무미다. 진지하고 담백하고 침착하다. 반면 냉정하고 재미없기도 하다. “우리 딸들은 서울대 출신하고는 결혼 안 한대”라면서 헛헛하게 웃는 서울대 출신 아버지들이 여럿 있다. “아버지같이 재미없는 사람은 싫다”고 딸들이 말한다는 것이다.
진리, 진리·자유, 진리·자유·정의
고려대는 호랑이 가죽 무늬의 빛깔, 이름하여 크림슨(자주색에 가까운 붉은색)이다. 빨간색보다 더 진한 느낌, 피가 막 터져나올 듯 강렬한 느낌을 주는 그 색깔이다. 그것은 열정, 그리고 그 말을 뒤집은 정열을 상징한다. 술을 많이 먹어 붉어진 얼굴빛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뜨거운 감정, 사람에 대한 열렬한 인정(人情)을 상징한다. 우유부단, 허여멀건한 것을 거부하는 화끈한 색깔이다.
연세대의 공식적인 색깔은 스카이블루(연한 청색)다. 말 그대로 밝고 연하다. 선선하고 쾌청한 느낌의 색깔이다. 열정은 빠져 있지만 편안하다. 독수리가 날아다니는 푸른 창공, 가장 맑은 날의 가을 하늘과 같은 색깔이다. 그 푸른 공간은 ‘독수리’의 자유지대이기도 하다.
놀랍게도 SKY 각 학교의 특성은 교훈(校訓)에도 그대로 반영돼 선명하게 비교된다. ‘책’을 사랑하는 서울대의 교훈은 ‘진리’ 한 단어다. 라틴어인 ‘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이라고 표기된다. 그뿐이다. 진리를 중시하고 탐구, 추구한다는 것에 학교의 이념이 집약돼 있는 것이다.
다른 것은 돌아보지 않고 다만 ‘그 길’을 갈 뿐이다. 치열하게 진리를 추구하지만 반면 그렇게 하려면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 대해 냉혹하고 비정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리’다. 그것을 추구하는 데 자기 자신의 변명이나 사정, 다른 사람들의 사정 같은 것을 일일이 생각해줄 여유가 없다. 이 대목에서 서울대생에게 가장 중시되는 인간능력의 척도는 지능지수(IQ, Intelligence Quotiency)다.
연세대의 교훈은 거기에 하나가 더 붙는다. 바로 ‘자유’다.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신약성경 로마서 1장8절이 그대로 교훈이다. 진리를 추구하는 것도 좋지만 그만큼 자유로워야 한다. 너무 진리에 얽매이지 말고 좀더 자유분방하게 살자는 얘기로 들린다. 기자는 연세대를 다니면서 실제 피부로 그런 자유를 느꼈다.
학교 안에서는 다른 이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무엇이든 할 자유’와 ‘무엇이든 하지 않을 자유’가 터질 듯 팽배했다. 서로 남에게 신경쓰지 않는다. 서울대를 나온 기자의 한 친구(모 대학 교수)는 “서울대생들은 같은 과 학생들끼리도 경쟁심을 갖고 있는 것 같은데 연세대생들은 남이 뭘 잘 하든 신경도 안 쓰는 것 같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
그래서인지 연세대생들은 다른 사람의 모든 것을 용인하는, 이른바 ‘개방된 마인드’를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의 일에는 좀처럼 개입하려고 하지 않는다. ‘너의 모든 생각과 행위를 인정한다. 그렇게 각자 알아서 즐겁게 지내자’는 쪽이다. 이 대목에서 연세대생들이 가장 중시하는 인간능력의 척도는, 굳이 말을 붙이자면 개방성(OQ, Openness Quotie ncy)이다.
고려대는? 진리와 자유를 인정하면서 거기에 한 가지를 더 얹어 놓았다. 바로 정의(正義)다. 그래서 ‘진리·자유·정의’다. ‘진리’는 뭐 따로 평가하고 자시고 할 것 없이 무미건조하게 그냥 진리일 따름이지만, 정의는 다분히 감정(感情)과 평가(評價)가 들어간 말이다. 가령 ‘섹스’라고 하면 진리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강간·간통으로 표현되면 그때부터는 정의(正義)냐 부정(不正)이냐의 영역으로 바뀌는 것과 같다. 좋다, 나쁘다 하는 인간의 감정과 평가가 따르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전철에 뛰어들어 다른 사람의 목숨을 구한 고 이수현이나 소매치기를 쫓아가다 교통사고로 숨진 전경이 모두 ‘고려대생’이라는 점은 그냥 보아넘길 우연한 일이 아니다. 그런 고려대생들에게 중요한 인간평가의 척도는 감성지수(EO, Emotion Quotiency)다.
‘진리’가 가장 중요한 서울대에는 전통적으로 문리대와 법대가 역시 대표학부다. 또 실제로 문리대와 법대를 통해 서울대 졸업생들은 우리 사회의 상층부로 우루루 진출했다. 고려대는 어떤가. 고려대의 대표학부는 관계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법대와 정치외교학과다. 사람 사이의 인정(人情), 사람 사이의 관계(關係)를 중시하는 고려대의 기질과 딱 맞아떨어진다. 연세대 역시 그 학풍·기질과 대표학부가 일치한다. 바로 의대와 상대다. 거칠게 말하면 의사가 좋고 사업가가 좋다.
‘남의 눈치 보지 않고 내 독자적인 일을 하면서 자유롭게 먹고산다’는 전통이 그대로 녹아 있는 것 같다.
이들 3개교의 여기까지의 특징을 예화로 표현하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동네에서 큰 싸움이 났다. 서울대생은 집안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 공부에 정신을 집중하다 보니 밖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른다. 설사 큰소리가 난다 해도 꿈쩍 않고 앉아서 공부를 계속 한다. 연세대생은 공부하다 말고 밖으로 뛰어나간다.
나가서 보니 두 남자가 맞붙어 주먹질이다. 연세대생은 가만히 정황을 살피고는 그 가운데 싸움의 원인을 제공한 쪽을 마음 속으로 비난한다. 그리고는 집으로 들어온다. 고려대생은? 마침 술을 한잔 걸치고 집으로 돌아오다 싸움 광경을 봤다. 얘기를 들어보니 한쪽이 잘못한 것이 분명하다. 고려대생은 가방을 옆에 놓고 ‘옳은 쪽’을 편들어 같이 싸운다.
술과 관련된 얘기를 한 가지만 더 하자. 앞에서 기자가 말한 친구 A교수가 기자에게 농반진반 던진 퀴즈다. 질문은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 3명이 술을 마신 뒤 술값을 누가 내겠는가’다. A교수의 자문자답.
“그게 처음하고 두번째하고 세번째가 있는데, 처음에는 고려대 출신이 내요. 왜냐? 다른 사람이 술값을 내려고 하면 ‘이건 도리가 아니다’라면서 자기가 ‘쏘겠다’고 막무가내로 계산하거든. 두번째 술자리에서는 서울대 출신이 낸다고. ‘전에 얻어 먹었으니 이번에 그것을 갚아야 한다’고 누가 계산하기도 전에 재빨리 계산하는 거지. 세번째 술자리에서는 누가 낼 것 같아? 서울대생이야. ‘그래도 역시 서울대 출신이 우리 사회의 톱이고 당연히 가장 잘 나갈 터이니’라는 얘기에서지. 연세대생은? 뭐 그렇게까지 자기가 원한다면, 하고는 기분좋게 고려대 친구나 서울대 친구가 술값을 내도록 양보하는 거라.”
A교수의 말처럼 서울대를 들어가는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동료들보다 성적에서 톱의 위치를 지켜온 이들이다. 그 자리는 높고 위대하지만 고독하고 힘들다. 그래서 제1인자의 자리는 늘 외롭다.
그 위치에 오르는 것도,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도 오로지 자기 자신에게 달렸다.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보다 몇 배나 더 노력을 쏟고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 주어진 임무 이외의 것들에 대해서는 한눈을 팔지 말아야 한다. 흐트러진 길, 흐트러진 모습은 철저한 자제력으로 삼가야 한다. 일탈은 용납되지 않으며 원리원칙이 중요하다.
그런 그들에게는 자기 능력, 자기 의견, 자기 주장이 가장 중요하다. 본래 똑똑한 사람들끼리는 단합하지 못한다는 것이 동서고금의 진리다. 너도 나도 다 똑똑한데 단합이 잘 될 리 없다. ‘서울대 졸업생은 모래알’이라는 얘기도 여기서 나온다.
모래알, 젖은 모래알, 철근콘크리트
연세대생은 어떤가. 이세진 사무총장은 연세대 출신을 가리켜 ‘시멘트’라고 표현하지만 기자가 보기에는 ‘젖은 모래알’이다. 라이벌 고려대와 마주 서 있는 ‘사학(私學)의 한 명문’이라고 할 때는, 그래서 외부의 집단세력(?)인 고려대와 맞선 입장일 때는 역시 연세대쪽도 한 집단으로서 굳게 단합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학교에서도 사회에서도 연세대 출신들은 단단하게 모이지 않는다. 가슴에 깊은 정을 품고 남의 인생에 적극 개입하거나 하는 일은 좀처럼 없다. 연세대의 이름 아래 단단하게 결속돼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것이 ‘거품’일 경우가 많다.
각교 동문회에서 발송하는 동문회보를 받아보는 졸업생 가운데 회비를 보내오는 비율(곧 회비납부율)을 봐도 그 같은 결속력의 차이는 확연히 드러난다.
2001년을 기준해 서울대총동창회는 모두 8만5,000명의 동문에게 동문회보를 발송했는데 그 가운데 회비를 보내온 졸업생은 2만명 가량으로 회비납부율이 23.5%다. 연세대는 8만명의 졸업생에게 동문회보를 발송한 뒤 1만5,000명 남짓 회비를 보내와 18.7%의 납부율을 기록했다. 반면 고려대의 경우는 5만여 명에게 회보를 발송, 그 대다수가 회비를 보내와 회비납부율이 90%를 넘어서는 ‘과연 고려대’로서의 결속력을 과시했다.
모래알 서울대, 젖은 모래알 연세대와 비교해 고밀도의 결속력을 자랑하는 고려대를 가리켜 사람들은 ‘철근콘크리트’라고 부른다.
각 학교의 성격은 동창회의 명칭에서도 드러날 정도다. 학교 동창회는 교명 뒤에 동창회 또는 동문회라고 이름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서울대는 ‘동창회’ 앞에 ‘총’(總)이 붙어 ‘서울대총동창회’다. 단과대별로 따로따로 동창회가 운영돼오다 나중에 연합체로 합쳐진 까닭이다. 연세대는 그런 배경이나 동창회 명칭에 큰 신경(?)을 쓰지 않는 듯 범용(汎用)하게 ‘연세대동문회’다. 고려대는 그 이름에서도 동창들 간의 밀착감이 느껴진다. 동창회나 동문회가 아니라 ‘고대교우회(校友會)’다. 한 학교, 한 친구라는 뜻이다.
1997년 경제주간지인 ‘한경비즈니스’에서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을 상대로 각 대학 졸업생들의 능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역시 지금까지 논의한 얘기들과 맞아떨어지는 것이었다. 그 설문조사의 결론을 줄여 보면 ‘▷서울대생은 기획력과 업무능력이 뛰어난 반면 단결·협동심이 부족하다 ▷연세대생은 진취적이고 창의성이 돋보이지만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 ▷고려대생은 업무 추진력과 특히 인화력이 두드러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각 학교(출신)의 성격이 종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사람들과의 관계(關係)에서다. 현직 서울대 사회과학분야 C교수의 칼로 자르는 듯한 분석.
“사회생활이라고 하는 것이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아니겠습니까. 또 거기서 각 개인의 기질이나 특성 같은 것들이 드러나는 것이고요. 거두절미하고, 서울대 출신들은 관계를 중시하지만 어떤 관계든 어떤 분야든 자신이 맨 앞이나 맨 위에 있어야 직성이 풀리는 스타일이에요. 다른 사람 밑에 있거나 지는 것을 싫어하죠. 톱을 원해요. 설사 다른 사람의 밑에 있다고 해도 그것을 마음 속으로 잘 인정하지 않죠. 반면 고려대는 자신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신경 쓰지 않고 관계 그 자체를 중시합니다. 관계가 허물어지거나 불편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아요. 연세대는 관계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이기적인 것은 아니고, 서구적 의미에서의 ‘개인주의’랄까 ‘혼자 놀기’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그런 점이 희미하게도 아니고 아주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연세대 출신은 왜 정치를 안 하나’라는, 맨 처음 질문은 여기서 대답을 유추해낼 수 있다. 정치는 어느 사회에서든 최고 엘리트 영역에 속한다. 사람들 간의 갈등을 조화시키고 자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하면서 권력도 향유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고 엘리트 영역인만큼 최고 엘리트들이 몰리는데, 그런 점에서 서울대 출신들이 정치권에 대거 포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또 정치의 기본은 뭐니뭐니 해도 사람과의 ‘관계’(關係)다. 정치는 관계에서 시작하고 관계에서 끝난다. 그런 인간관계에 강한 것은 역시 고려대 출신들이다. 따라서 고려대 출신들도 정치권으로 적극 달려든다. 그런데 연세대 출신은? 관계 자체를 탐탁지 않게 생각하는 터에 ‘관계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정치를 대단히 싫어할 수밖에 없다.
서울대 출신은 자기 입으로 출신 대학을 말하지 않는다
SKY라는 주제로 취재하는 동안 기자는 미리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3개교 출신간 행태 차이를 경험할 수 있었다. 하나는 서울대 출신들은 자기가 어느 학교를 나왔는가를 자기 이름으로 밝히는 법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연·고대 출신의 경우 자신이 연·고대를 나왔음을 농담으로라도 턱턱 화제로 삼는 반면 서울대생은 누가 따져 묻기 전에는 ‘남들이 알아주면 알아주었지 내 입으로 말하지는 않는다’는 일관된 태도였다. ‘서울대 나왔다고 재는 거냐’는 사회적 시선을 의식하는 것인지 혹은 ‘내가 내 입으로 최고 대학을 나왔다고 얘기하는 것은 푼수 같은 짓’이라는 자의식이 있어서인지 모르겠다.
다른 하나는 만나고 헤어질 때의 태도였다. 특히 술을 먹고 헤어질 때 (독자 여러분도 그럴 기회가 있거든 한번 눈여겨 보시라) SKY 각 대학 출신들의 태도는 달랐다. 서울대는 작별인사를 하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택시를 잡아타거나 자기 갈 길로 뚜벅뚜벅 간다. 연세대는 인사를 하고 먼저 가더라도 몇 번 뒤돌아 보며 손을 흔들어 친밀한 여운을 남긴다. 또는 다른 사람들을 먼저 택시에 태워 보내거나 배웅한다. 고려대생은? 쉽게 작별하려고 하지 않는다. ‘한잔 더’라거나 ‘너희들 먼저 가’다. 역시 고려대는 다른 대학들에 비해 감정적, 정의적(情誼的)이다.
그 같은 행태의 차이는 아예 술을 마시는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사람의 본성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술에 취했을 때라고들 한다. 먼저 서울대생 혹은 서울대 출신들. 그들은 결코 취하지 않는다. 취하도록 마시지도 않는다. 필요에 따라, 자리에 따라 적당히 마신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많다.
연세대생이나 고려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술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즐기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다. 독자 여러분도 자신의 직장이나 주변에서 그런 음주 행태를 비교해 볼 기회가 있을 것이다. 직접 ‘관찰’해 보시기 바란다. 취하도록 마셔야 할 때도 끊임없이 취하지 않기 위해(머리 속으로) 애쓰는 것처럼 보인다. 술에 있어서 서울대 출신들은 놀라운 자제력을 보인다. 술주정은 거의 없다.
연세대는? 술을 찾아 먹지는 않지만 일단 술자리에 들면 분위기에 맞춰 줄곧 마신다. 잘 취하지만 술주정은 별로 없다. 혹은 술에 취하지 않고도 취한 것처럼 즐겁게 논다. 술자리가 끝난 뒤 자신의 것은 물론 다른 사람들이 잃어버린 것은 없나 꼼꼼히 뒤를 챙기는 것도 연세대 출신들의 특징이다. 술을 한번 진하게 마시면 며칠 동안 쉰다. 무리하지 않는다. 술 매너도 깔끔하다.
고려대생은? 이미 대답을 짐작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취한다. 취해버린다. 만취할 때가 많다. 화끈하다. ‘우리가 남이가’를 외치며 술자리 분위기, 아니 술을 마시는 것 자체를 주동(主動)한다. 술을 마신 뒤 거리낌없는 주정도 잦다. 그러다 보니 자기 몸에 지니고 있던 소소한 것들을 잃어버리는 일도 허다하다.
지리적 요인도 기질에 영향
학교가 놓인 위치도 각 학교의 기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보인다. 단과대가 떨어져 일체감을 갖지 못했던 서울대는 1975년 이후 관악골로 모였다. 관악골은 서울의 도심은 물론 부도심에서도 뚝 떨어져 있다. 서울대 부근에서 가장 큰 건물은 서울대다. 다른 학교 학생들이나 인근 지역과 살을 맞댈 일이 없다. 학(鶴)처럼 저만치 뚝 떨어져 있다. 거대한 고시촌처럼 산기슭에 푹 파묻혀 자기들 일에만 몰두한다.
고려대가 자리잡은 안암골은 동쪽 부도심에 위치하지만 거기도 역시 고려대뿐이다. 더욱이 고려대 캠퍼스가 의대·공대·본관 등으로 크게 3분할되면서 안암동에서도 쑥 안쪽으로 학생들의 활동 중심지가 달라졌다. 그래서 정문 앞은 과거에 비해 무참하게 썰렁해졌다. 전에는 ‘마마집’으로 통칭되던 막걸리주점들이 자리를 틀고 고려대생들을 불러들여 북적거렸지만 지금은 썰렁하다. 외부인(다른 학교 학생들이나 지역민들)들과 어우러지는 대신 고려대생끼리 어울리며 완고하게 자기 학교 기질을 고수해 나가는 지리(地理)다.
두 학교에 비해 연세대는 사통팔달 뻥뻥 열리고 통한다. 연세대생들의 중심 활동지인 신촌 로터리는 서울의 부도심 가운데 가장 번화한 한 곳이 됐다. 서강대·이화여대·명지대·홍익대·추계예술대가 만나는 교차점이다. 게다가 인근 고교생과 중학생들까지 몰려들어 주말이면 걸어다니기가 힘들 정도다. 그곳은 열린 공간이고, 다른 두 학교의 ‘방과 후 문화’와 비교하면 한결 젊고 요란한 문화다. 가뜩이나 자유롭고 개방된 분위기의 연세대생 기질은 신촌문화와 상승(相乘)작용을 일으키며 공고화될 수밖에 없다.
“사회적 물의가 일어날까 두렵다”면서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연세대의 한 교수는 “그 같은 각교의 기질이 이성교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같은 캠퍼스 커플이라고 해도 서울대생은 상대를 그야말로 주도면밀하게 관찰하고 따져 사귀는 것 같아요. 남자쪽이든 여자쪽이든 신중하죠. 사귀기는 해도 몸가짐, 마음가짐을 조심하고 결혼까지 이르는 과정도 대단히 뭐랄까, 깐깐한 것 같아요. 고려대는 커플이라기보다 ‘동지’쪽에 더 가까운 것 같아요. 서로 흉허물 없이, 격의 없이 상대의 조건이나 배경을 따지지 않고 뜻만 맞으면 어울려 다니는 거죠. 또 캠퍼스 커플이라고 해도 단둘이 끼리끼리보다 여럿이 함께 어울려 다니는, 어떤 동아리 의식도 강하고 말이죠. 연세대는 안 그래요. 진짜 사회인들과 같은 이성교제를 합니다. 남자와 여자로서 눈에 불꽃이 일고 사랑에 빠집니다. 연애하는 거죠. 그러면서 연애 초기부터 결혼을 생각하고 약속하고 말이죠. 물론 모두 그렇지야 않겠지만 그것이 경향인 것만은 틀림없다고 봐요.”
SKY 기질에 대한 이런 설명들을 염두에 두고 과연 그들 각각의 기질이 사회적으로는 어떻게 ‘반영’되는지 따져보자. 곧 각 학교 졸업생들이 과연 어떤 분야로 얼마나 진출해서 두각을 나타내는지, 현상을 숫자로 파악해 보자. 앞서 본 것처럼 SKY 3개교는 지금까지 도합 70여 만명의 졸업생을 배출해 왔다. 그 70만이라는 수가 갖는 의미는 사실 간단치 않다.
숫자로 본 SKY의 기질과 위상
SKY 3개교 졸업생들이 100% 생존해 있다고 가정해도 그들을 합쳐봐야 우리 인구의 1.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나마 이들 학교가 지난 한 세기를 지나오는 동안 졸업생 가운데 상당수가 유명을 달리(3세대 이상이 지났으므로 70만명 중 3분의1은 될 것이다)했으리라는 점에서 현재 우리 인구대비 ‘SKY 인구’는 실제로는 1%가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산된다. 문자 그대로 극소수(極少數)다. 그런 극소수가 지금까지 우리 현대사에서 차지해온 ‘자리의 무게’는 어떤가.
먼저 정치권에서 SKY가 차지하는 비중은 앞서 14대, 15대, 16대 국회의원 통계에서 짐작할 수 있다. 3대에 걸친 전체 국회의원 871명 가운데 SKY출신은 476명, 54.6%로 나타난다. 시험을 쳐서나 누가 끌어줘서 되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다수의 ‘민의’(民意)에, 표(票)에 운명을 맡겨야 하는 것이 국회의원선거다. 자기가 하고 싶다고, 열정과 실력과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닌 이 정치판에서조차 SKY는 발군의 실력을 보여왔다.
선거로 자리를 차지하는 국회에의 SKY 진출도가 이 정도니, 자신의 의지와 능력과 노력을 발휘해 오를 수 있는 관직(官職)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이 SKY가 독주다.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지금까지 18개 부처(현행 기준)별로 학력이 명확히 알려진 장관 수는 모두 692명. 이 가운데 군 출신으로 채워진 국방부 장관 37명을 제외한 17개 부처의 장관 수는 655명이다. 이들을 SKY 출신대학별로 분류하면 흥미로운 몇 가지 결과가 도출된다. 당장 SKY 출신 인사들이 359명으로 절반 이상(55%)을 차지한다. 이는 사실 국내 대학 출신자 가운데는 SKY 출신이 장관 자리를 거의 독식(獨食)하다시피 한 것이나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장관 가운데 일본 대학 출신이 125명이고 육사 출신도 44명에 달하는데, 이들과 SKY를 합치면 전체 장관 자리의 80%가 넘는다. 나머지 대학 가운데서도 상당수가 미국유학파 출신임을 감안하면 사실 SKY 외의 다른 국내 대학 출신 장관은 소수에 그친다.
연세대, 역대 5개 부처에 장관 1명도 못 내
SKY 중에서도 역시 서울대가 연고대 출신을 합한 것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283명(43%)의 장관을 배출했고 고려대 출신은 49명(7%)이었다. 정치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연세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적어 고려대의 절반 수준인 27명(4%)의 장관을 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연세대는 노동·환경·농림부 등에서 장관을 한 사람도 내지 못했다. 전통적으로 법대는 서울대와 고려대가 강세를 보여 왔다는 ‘전설’에 부합되게 서울대는 전체 법무부 장관 53명 중 24명(45%)을 배출했고 고려대도 9명(17%)의 장관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세대 출신은 법무부 장관을 한 사람도 내지 못해 상대적으로 법대쪽이 약세임을 보여줬다. 이는 역대 검찰총장 수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검찰총장의 경우 30명 가운데 서울대 출신이 절반을 넘는 16명(53%)이었고 고려대는 6명(20%)인 반면 연세대는 한 사람의 검찰총장도 내지 못했다. 앞의 정치권 통계와 연관시켜 보면 연세대 출신들은 정계나 관계쪽으로 별로 진출하지 않았음을 확연히 알 수 있다. 반면 연세대는 교육쪽에서 고려대에 비해 훨씬 많은 장관을 배출하는 특징을 보였다.
장관뿐 아니라 실제로 공무원이 자기 노력으로 당도할 수 있는 최상위 자리라고 하는 국장급 이상 고위직도 마찬가지다. 2001년 3월 중앙인사위원회 자료를 보면 중앙부처의 국장급 이상 1급 공무원 243명 가운데 SKY 출신이 무려 176명으로 72.4%를 차지했다. 절반을 훨씬 넘는 56.4%를 서울대가 차지했고 고려대가 8.2%, 연세대가 7.8%였다.
경제쪽은 어떨까. 재계에서는 흔히 “사학(私學) 경영학과의 양대 산맥인 고려대와 연세대 경영학과 출신들을 합치면 서울상대 출신보다 많다”는 얘기가 회자돼 왔다. 서울대가 독주(獨走)하고는 있지만 700명에 달하는(연세대·고려대 동문회 추산) 대기업·중소기업의 쟁쟁한 CEO들이 ‘사학 파워’시대를 열어가고 있다는 얘기다. 과연 실제로는 어떨까. 기자는 이번 SKY 취재를 계기로 아예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665개 기업의 CEO들(2002년 12월 현재)의 출신대학을 전수조사해 보았다.
지난해 상장된 이들 기업의 대표이사 중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 2002)에 CEO 학력을 명시한 기업은 모두 503개. 이들 기업의 CEO 647명을 대상으로 기자가 조사한 결과는 SKY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 53%로 나타났다. 서울대가 173명으로 26.7%를 차지해 고려대(90명, 13.9%)와 연세대(80명, 12.4%)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
기업의 규모가 크면 그만큼 SKY 출신이 늘어나는 현상도 발견됐다. 월간 ‘현대경영’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1년 매출액 규모 100대 기업의 CEO 152명 가운데 SKY 출신이 109명으로 무려 71.7%를 차지했다. 서울대가 68명(44.8%), 연세대 24명(15.8%), 고려대 17명(11.1%)이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전문경영인들만 추려봐도 SKY 출신들은 단연 두각을 나타내는 것으로 집계된다. 2001년 ‘월간중앙’이 국내 전문가집단과 함께 선정한 ‘한국의 대표 전문경영인 50인’을 보자. 50인 가운데 당장 SKY 출신이 전체의 78%나 됐다. 서울대 출신이 27명으로 절반을 넘어 54%를 차지해 역시 기업부문에서도 서울대가 ‘압도적 수월성’(秀越性)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에 이어 고려대 6명(12%), 연세대 6명(12%)이었다.
386 리더그룹도 SKY가 주도
금융쪽은 SKY 출신들이 최상부를 아예 ‘장악’하다시피 한 느낌이다. 지난 1999년 ‘서울경제신문’이 펴낸 ‘한국을 움직이는 77인의 금융인’은, 국내 은행·보험·증권·투신·종금·카드·신용금고·창투사 등 금융계 모두를 망라해 금융업계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외국인 1명을 제외한 전체 76명 중 SKY 출신이 모두 64명으로 무려 84%에 이른다. 학교별로는 서울대가 단연 앞서 44명(58%)이나 됐고 그 다음으로 연세대가 11명(14%), 고려대 9명(12%)이었다.
언론계도 보자. 마감시간에 쫓기고 또 자료 수집의 어려움으로 기자들 전체에 대한 조사는 진행하지 못한 대신 언론계 부장급 이상 간부들 가운데 SKY 출신이 얼마나 되는가 세어 보았다. 1999년 3월 ‘월간중앙’과 전문가집단이 선정한 ‘한국의 리더’가운데 언론편을 기본 자료로 삼았다. 당시 중앙일간지와 방송사의 최고경영자에서 부장급까지 선정된 간부는 466명.
이 가운데 SKY 출신은 302명으로 65%나 됐다. 서울대 출신이 가장 많은 172명(37%)이었고 고려대가 83명(18%), 연세대가 47명(10%) 순
서울대, 연세대 치대는 충분히 메이저+ 고의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되게 오래전 학번인데요
08학번이었는데 그 당시 연치의 위엄은 어마어마 했어요.
그 당시 설치는 100% 치전 이었고, 치대 넘버원은 연치였죠.
연의 싸다구는 물론 다음 훌**천국이라는 유명한 학벌 사이트에서도
서울대 의대 vs 연세대 치대 하면 6:4 나올정도로 인기가 대단했습니다.
제가 강남 8학군의 고등학교중 한곳을 나왔는데, 저희 교 전교 1등이
수능 전국 10등대를 대학 프리패스권을 찍고 연치를 갔었어요
어느정도 위엄이었냐면 https://orbi.kr/0002846238
불과 6년전 입결입니다. 수능 상위 0.09%여야 연치를 갔었죠.
IMF 터진 이후부터 2010년까진 연치가 정말 독보적이었습니다.
연의 싸대기 때릴정도로요. (이는 과거 구글에서 오르비 입결표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여하튼 각설하고,
제가 의료계 쪽에 있는데 지금 치대 인기 하락의 원인은
포화된 시장이라는 측면이 큽니다.
근데 아이러니하게도 치과시장이 최대로 포화된 시점은
입결 탑을 달리고 있던 2000년대 후반~ 2010년 초반 이었어요.
아이러니하게도 인기가 하락했던 지금 치과 시장은 오히려 점점 나아지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치대들이 60년대 후반에 세워졌는데 이제 점점 초기 기수들이
은퇴할 나이기 떄문이죠. 동적평형화가 됬다는 말을 합니다.
그리고 임플란트과 같이 보험화가 되면서
치과 문턱이 낮아지면서 시장 상황은
입결 탑이었던 시점보다는 더 나아진 상황입니다.
근데 입결은 아직 메이저의대보다, 인식도 아래죠.
제가 말하고 싶은건 현 입결하고 시장상황, 전망하고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거에요.
제 학번 기준 의대 최고 인기과중에 내과, 안과, 영상의학과, 정신과가 있었는데
이 과가 불과 몇년만에 이제 기피과가 되어버렸네요
지금 인기있는 과가 나중에 인기 있을지? 미래 전망이 좋을지?는 전혀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면에서 개원이 가능하고, 대부분이 비보험으로 먹고 사는 치과는
의대에서도 중상위과에 위치할수 있는 과입니다.
게다가 치과 자체가 대부분이 지방대에 있어서 서울대, 연세대라는 의료계의 막대한 파워를 갖고 있는
간판을 달수 있는 설치, 연치는 못해도 메이저의 + 고의 정도의 포텐셜은 갖고 있대 생각을 합니다.
정말 격세지감이라 생각하는게,
연치가 몇년 전 빵꾸가 한번 나서 지거국의 급으로 뚫렸던걸로 압니다.
근데 그 한해 입결로, 연치면 지거국 수준이라느니,
오르비 어떤 분이 연치 버리고 지거국 의 갔다는걸로 지거국의> 연치 라는 둥
치과의사는 의사가 아니라는 둥, 뭐 이런 소리 보고 있으면 그냥 실소가..... 나옵니다.
요새 다시 치대 입결이 슬금슬금 모르고 있는데 또 모르죠 몇년뒤 설치, 연치가 메이저의 뺨때릴 입결을 낼지...
명문대학교 + 평타 이상을 보장할수 있는 과는 분명히 언젠가는 다시 인기가 돌아오게 되있으니
설연치면 메이저의+고의 정도 제외하고는,
그냥 믿고 가시면 나중에 후회는 덜할겁니다.
서울대학교 교육 수준이 많이 떨어지긴 하나봐요..
미국대학이랑 한국대학 교육 수준이 상당히 차이가 나나봄 🙂
난 솔직히 고등학교때 서울대,연고대,카이스트.. 이런대 못갔을거 같은데
(서성한 정도는 가능했을듯ㅎㅎ)
박사에 합격하고 사람들을 쭉 보는데.. 저런 한국 유명 대학에서도 대부분이 바로 미국으로 석박사 유학을 오지못하고
한국 학부에서 돈 쓰고도, 한국이나 미국에서 석사를 유학가서 또 돈쓰고 시간쓰고.. 해야 겨우 박사로 오나보네요 🙂
https://cse.snu.ac.kr/people/faculty
이것은 서울대 컴공 교수진 목록!
서울대 교수면 서울대 학부에서 Top of Top 수준 이었을텐데도
90% 이상이 다이렉트 박사를 못왔다는 팩트 🙂
나같이 미국에서 학부 유학했던 사람들은 너무나도 당연시 여겨지는게 학부 – 박사인데 ㅎㅎ
(난 학부를 3년하고 반 만에 졸업했음! 반은 여름학기라 사실상 3년만에 박사 입성!)
이렇게되면.. 한국 학생들의 유일한 “Masturbation Material” 인
비용면에서도 내가 이득됬다는 것 아닌가? 🙂
ㅡ 한국 학사:: 4년~5년 (한국의 치열한 상대평가로 인한 휴학하고 학점 공부하고 오기, 재수강으로 인한 1년 연장은 필수!)
ㅡ 미국에서 석사 // 한국에서 석사:: 2년
이렇게 돈 쓰고도, 내 후임 쫄따구로 들어오네??
난 2~3년 일찍 돈벌고 억대연봉 저축해두는데~~
그 의미는 무엇일까…???
나보다 분명 고등학교때 머리좋고 공부 잘한 사람들이었을텐데..
논문이나 연구실적이 나보다 뛰어났으면, 아무리 한국 대학 네임벨류의 불리한점이 있다해도
당연히 합격해야 하는거 아닌가????? 🙂
어리둥절…
원인이 뭐지????
아~~~
대학 기간동안 상당한 차이가 벌어졌나보구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