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행정안전부
지역 안전지수 등급 현황 요약한 글입니다. 지역 안전지수 등급 현황 파일 전체가 필요하신 분은 페이지 하단으로 이동하여 지역 안전지수 등급 현황 pdf를 다운로드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역 안전지수 등급 현황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12월 15일, 2021년 통계를 기준으로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별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안전수준 등을 나타내는 2022년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하였다.
○ 지역안전지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의10에 따라 분야별 안전수준을 1~5등급으로 진단하여 2015년부터 매년 공개하고 있다.
○ 특히, 올해부터는 주민의 법규준수(교통사고안전띠(벨트) 착용), 참여(생활안전응급처치 교육), 활동(범죄자율방범대원)과 같은 안전의식까지 반영할 수 있도록 지표‧산식을 개선하여 종합진단 체계로 개편하였다.
□ 행정안전부 공표자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지역안전지수 분야 총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17.4%(22,989 → 26,991명) 증가했고, 코로나19 제외 시 전년 대비 0.4%(22,039 → 21,961명) 줄었다.
※ 연도별 사망자 수 : ('16년)24,115명 → ('17년)23,085명 → ('18년)24,550명 → ('19년)23,094명 → ('20년)22,989명→ ('21년)26,991명('20년 比 4,002명, 17.4 %↑/ 코로나19 사망자 제외 시 78명, 0.4% ↓)
○ 이는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분야의 사망자가 감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 코로나19 사망자는 전년 대비 429.5%(950 → 5,030명) 증가
댓글